Summary

바이러스로부터 멀리 떨어진 고수율 세포 외 소포 제제의 정제

Published: September 12, 2019
doi:

Summary

이 프로토콜은 EV 강수량, 밀도 그라데이션 초원심분리 및 입자 포획을 통합하여 고효율 및 수율을 가진 비리온으로부터 세포외 소포(EV)를 분리하여 간소화된 워크플로우와 시동 감소를 허용합니다. 모든 EV 연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재현 가능한 준비를 할 수 있습니다.

Abstract

세포외 소포 (EV) 연구 오늘의 필드에 있는 중요한 장애물의 한은 바이러스성 감염 조정에 있는 정제한 EV 준비를 달성하는 기능입니다. 제시된 방법은 기존의 초원심분리 방법에 비해 더 높은 효율과 수율을 허용하는 비리온(즉, HIV-1)으로부터 EV를 분리하기 위한 것입니다. 당사의 프로토콜에는 EV 강수량, 밀도 구배 분리 및 입자 캡처의 세 단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운스트림 어세이(즉, 웨스턴 블롯 및 PCR)는 입자 캡처 직후에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최소한의 시작 볼륨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른 절연 방법(즉, 초원심분리)보다 유리합니다. 또한, 여러 초원심분리 단계를 요구하는 대체 EV 절연 방법보다 사용자 친화적이다. 그러나, 제시된 방법은 우리의 입자로부터 손상되지 않은 EV를 용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능적 EV 어종의 범위에 제한된다. 또한,이 방법은 엄격하게 연구 기반 설정으로 조정되며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하지 않을 것입니다.

Introduction

세포외 소포(EV)를 중심으로 한 연구는, 특히 엑소좀, 30-120 nm에 이르는 EV의 일종이며, 3개의 테트라스파닌 마커 CD81, CD9 및 CD63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며, 크게 분리하고 관심의 소포를 정화. 다각적 메커니즘을 해부하는 능력은 다양한 내용, 크기 및 다양한 경로를 통해 생성 된 소포의 이기종 집단으로 구성된 샘플을 생성하는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기술로 인해 방해되었습니다. 밀도. 이것은 거의 모든 EV 연구를 위한 문제점이있는 동안, 바이러스 감염의 맥락에서 EV를 공부할 때 특히 중요합니다, virions와 바이러스 같이 입자 (VLPs)는 관심있는 소포에 직경에서 유사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타입-1 (HIV-1)는 대략 100 nm 직경이고, 이는 많은 유형의 EV와 거의 같은 크기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EV 격리 워크플로우를 설계했습니다.

EV 절연의 현재 골드 표준은 초원심분리입니다. 이 기술은 다양한 소포 밀도를 사용하여 소포를 각 단계 1,2에서저밀도 입자대 고밀도 입자의 차동 침전으로 원심 분리하여 분리 할 수 있게합니다. 몇 가지 저속 원심 분리 단계는 손상되지 않은 세포 (10 분 동안 300-400 x g), 세포 파편 (~ 2,000 x g 10 분), 및 세포 사멸 체 / 대형 소포 (~ 10 분 동안 10 분 동안 10 분)를 제거해야합니다. 이러한 초기 정화는 퇴적 전기 전기에 고속 초원심분리 (100,000-200,000 x g 1.5-2 시간)가 뒤따릅니다. 세척 단계는 EV 순도를 더욱 보장하기 위해 수행되지만, 이로 인해 절연 된 전기 EV의 수가 감소하여 총 수율 3,4가감소합니다. 이 방법의 유틸리티는 적절한 결과를 얻기 위해 많은 수의 셀(약 1 x 108)및 큰 샘플 부피(> 100 mL)의 요구 사항에 의해 더욱 제한됩니다.

증가하는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친수성 고분자를 사용한 소포의 침전은 최근 몇 년 동안 유용한 기술이 되었습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또는 기타 관련 침전 시약은 사용자가 단순히 선택의 시약으로 샘플을 배양하여 샘플 내에서 소포, 바이러스 및 단백질 또는 단백질 RNA 응집체를 당기고 단일 저속으로 당길 수 있게 합니다. 원심 분리1,2,5. 우리는 이전에 기존의 초원심분리에 비해 전기 를 침전시키는 PEG 또는 관련 방법의 사용이 상당히 높은 수율6을초래한다는 것을 보고했다. 이 전략은 빠르고 쉽고, 추가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으며, 쉽게 확장 가능하며, EV 구조를 유지합니다. 그러나, 이 방법의 난잡한 특성으로 인해, 생성된 샘플은 자유 단백질, 단백질 복합체, 다양한 EV 및 바이리온을 포함한 다양한 제품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원하는집단을 얻기 위해 추가적인 정제가 요구된다 1 ,2,7,8.

다양한 강수 방법에서 얻은 전기 EV의 이질성을 극복하기 위해 밀도 그라데이션 초원심분리(DG)는 밀도에 따라 입자를 더 잘 분리하는 데 활용됩니다. 이 방법은 단백질, 단백질 복합체 및 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 유사 입자(VLP)로부터 EV를 분리할 수 있는 이오디산놀 또는 수크로오스와 같은 밀도 구배 배지를 사용하여 단계별 구배를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한때 DG가 EV 하위 모집단을 보다 정밀하게 분리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지만 이제는 다양한 소포의 크기와 밀도가 겹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엑소좀은 1.08-1.22 g/mL9의 부양 밀도를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골지(COPI+ 또는 클라트린+)에서분리된 소포는 1.05-1.12 g/mL의 밀도를 가지며 소포성 망막(COPII+ ) 1.18-1.25 g /mL1,2,3,4,9에서퇴적물 . 또한, 외형 분획을 바이러스 입자를 포함하는 분획과 비교하려는 경우 관심 바이러스의 밀도에 따라 HIV-1 이외의 바이러스가 동일하게 평형화될 수 있습니다. 외인성 양성 분획과 같은 밀도2.

마지막으로, 다운스트림 시각화 및 기능적 검정을 위한 EV 준비의 강화는 EV 연구에 매우 중요합니다. EV 농축 나노 입자, 특히 직경 700-800 nm범위의 다기능 하이드로겔 입자의 사용은 농축 된 EV 준비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단계입니다. 그들은 선택성을 촉진하기 위해 다공성 외부 체질 쉘에 의해 캡슐화 높은 친화력 방향족 미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 활용된 나노 입자에는 다양한 시약 및 바이오 유체에서 전기 자동차 포획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다른 코어 미끼(반응성 Red 120 NT80 및 Cibacron Blue F3GA NT82)가 있는 두 가지 뚜렷한 제제가 포함됩니다(재료 표 참조) )6,10,11,12,13,14,15. 입자는 iodixanol 분획, 세포 배양 상급자 뿐만 아니라 플라즈마, 혈청, 뇌 척수액 (CSF) 및 소변6,13과 같은 환자 생체 유체를 포함한 수많은 시작 물질에서 전기 의 쉽게 농축을 제공합니다 .

여기에 제시된 방법은 여러 기술을 결합하여 현재 EV 정제 기술의 효율성을 향상시킵니다. EV 침전, 밀도 그라데이션 초원심분리 및 입자 캡처를 통해 워크플로우를 간소화하고, 시료 요구 사항을 줄이고, 수율을 증가하여 모든 EV 연구에 사용하기 위해 보다 균일한 EV 샘플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0.22 μm 여과 단계를 포함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감염 시 EV 및 그 내용물을 조사하는 데 특히 유용하며 밀도에 따라 크고 원치 않는 소포 및 VLP를 배제하고 총 EV 집단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합니다. 비리온으로부터 전기를 분리합니다.

Protocol

1. 세포외 소포의 여과 및 강수량 (EV) 감염또는 형질감염된 세포(즉, 세포주 및/또는 1차 세포)로부터 배양을 상판화하기 위해, 37°C에서 5일간 후기 로그 세포의 약 10 mL을 배양하고 5%CO2를 적절한 배양 배지(즉, 10% 태아 소와 함께 RPMI 또는 DMEM)에서 배양한다. 혈청 [FBS]).참고: 모든 배양 배지 시약은 전기 TV가 없어야 하며, 90분 동안 100,000 x g의 혈청 을 사전 초원?…

Representative Results

PEG 강수량은 EV 수율을 증가EV 절연에 대한 당사의 조합 접근 방식은 기존의 초원심분리에 비해 EV 회수 측면에서 훨씬 더 효율적이며, 필요한 출발 물질의 부피를 90% 감소시킴으로써 명백히 드러납니다. EV 절연의 현재 금 본위제인 초원심분리는 하류 분석에 적합한 EV 준비를 생성하기 위해 약 100 mL의 배양 상판이 필요하지만, 우리의 새로운 프로토콜은 10 mL…

Discussion

설명된 방법을 통해 EV 수율을 높이고 격리에 대한 조합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EV에서 바이러스를 분리할 수 있습니다. 비교적 많은 양의 출발 물질(즉, 셀 상판)은 침전, DG 분리 및 나노입자 농축에 의해 EV 격리 이전에 여과될 수 있으며, 최종 부피인 ~30 μL로 다양한 종류의 즉각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다운스트림 아세이. 나노 입자 농축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기존의 초원심분리에 비해, 이?…

Disclosure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우리는 카산치 연구소, 특히 그웬 콕스의 모든 구성원에게 감사드립니다. 이 작품은 국립 보건원 (NIH) 보조금 (AI078859, AI074410, AI127351-01, AI043894 및 NS099029 F.K.)에 의해 지원되었습니다.

Materials

CEM CD4+ Cells NIH AIDS Reagent Program 117 CEM
DPBS without Ca and Mg (1X) Quality Biological 114-057-101
ExoMAX Opti-Enhancer Systems Biosciences EXOMAX24A-1 PEG precipitation reagent
Exosome-Depleted FBS Thermo Fisher Scientific A2720801
Fetal Bovine Serum Peak Serum PS-FB3 Serum
HIV-1 infected U937 Cells NIH AIDS Reagent Program 165 U1
Nalgene Syringe Filter 0.2 µm SFCA Thermo Scientific 723-2520
Nanotrap (NT80) Ceres Nanosciences CN1030 Reactive Red 120 core
Nanotrap (NT82) Ceres Nanosciences CN2010 Cibacron Blue F3GA core
Optima XE-980 Ultracentrifuge Beckman Coulter A94471
OptiPrep Density Gradient Medium Sigma-Aldrich D1556-250mL Iodixanol
SW 41 Ti Swinging-Bucket Rotor Beckman Coulter 331362
Ultra-Clear Tube, 14x89mm Beckman Coulter 344059

References

  1. Taylor, D. D., Shah, S. Methods of isolating extracellular vesicles impact down-stream analyses of their cargoes. Methods (San Diego, Calif). 87, 3-10 (2015).
  2. Konoshenko, M. Y., Lekchnov, E. A., Vlassov, A. V., Laktionov, P. P. Isola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General Methodologies and Latest Trends.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8, 8545347 (2018).
  3. Momen-Heravi, F., et al. Current methods for the isola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Biological Chemistry. 394 (10), 1253-1262 (2013).
  4. Théry, C., Amigorena, S., Raposo, G., Clayton, A.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osomes from cell culture supernatants and biological fluids. Current Protocols in Cell Biology. , (2006).
  5. Boriachek, K., et al. Biological Functions and Current Advances in Isolation and Detection Strategies for Exosome Nanovesicles. Small (Weinheim an Der Bergstrasse, Germany). 14 (6), (2018).
  6. DeMarino, C., et al. Antiretroviral Drugs Alter the Content of Extracellular Vesicles from HIV-1-Infected Cells. Scientific Reports. 8 (1), 7653 (2018).
  7. Van Deun, J., et al. The impact of disparate isolation methods for extracellular vesicles on downstream RNA profiling. Journal of Extracellular Vesicles. 3, (2014).
  8. Lobb, R. J., et al. Optimized exosome isolation protocol for cell culture supernatant and human plasma. Journal of Extracellular Vesicles. 4, 27031 (2015).
  9. Raposo, G., et al. B lymphocytes secrete antigen-presenting vesicle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183 (3), 1161-1172 (1996).
  10. Sampey, G. C., et al. Exosomes from HIV-1-infected Cells Stimulat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hrough Trans-activating Response (TAR) RNA.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91 (3), 1251-1266 (2016).
  11. Ahsan, N. A., et al. Presence of Viral RNA and Proteins in Exosomes from Cellular Clones Resistant to Rift Valley Fever Virus Infection. Frontiers in Microbiology. 7, 139 (2016).
  12. Barclay, R. A., et al. Exosomes from uninfected cells activate transcription of latent HIV-1.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92 (28), 11682-11701 (2017).
  13. Pleet, M. L., et al. Ebola VP40 in Exosomes Can Cause Immune Cell Dysfunction. Frontiers in Microbiology. 7, 1765 (2016).
  14. Pleet, M. L., et al. Ebola Virus VP40 Modulates Cell Cycle and Biogenesis of Extracellular Vesicles.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 (2018).
  15. Anderson, M. R., et al. Viral antigens detectable in CSF exosomes from patients with retrovirus associated neurologic disease: functional role of exosomes. Clinical and Translational Medicine. 7 (1), 24 (2018).
  16. Vlassov, A. V., Magdaleno, S., Setterquist, R., Conrad, R. Exosomes: current knowledge of their composition, biological functions, and diagnostic and therapeutic potentials.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820 (7), 940-948 (2012).
  17. Théry, C., Zitvogel, L., Amigorena, S. Exosomes: composition, biogenesis and function. Nature Reviews. Immunology. 2 (8), 569-579 (2002).
  18. Schwab, A., et al. Extracellular vesicles from infected cells: potential for direct pathogenesis. Frontiers in Microbiology. 6, 1132 (2015).
  19. Narayanan, A., et al. Exosomes derived from HIV-1-infected cells contain trans-activation response element RNA.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8 (27), 20014-20033 (2013).
  20. Sami Saribas, A., Cicalese, S., Ahooyi, T. M., Khalili, K., Amini, S., Sariyer, I. K. HIV-1 Nef is released in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astrocytes: evidence for Nef-mediated neurotoxicity. Cell Death & Disease. 8 (1), e2542 (2017).
  21. Yang, L., et al. Exosomal miR-9 Released from HIV Tat Stimulated Astrocytes Mediates Microglial Migration. Journal of Neuroimmune Pharmacology: The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on NeuroImmune Pharmacology. 13 (3), 330-344 (2018).
  22. Arakelyan, A., Fitzgerald, W., Zicari, S., Vanpouille, C., Margolis, L. Extracellular Vesicles Carry HIV Env and Facilitate Hiv Infection of Human Lymphoid Tissue. Scientific Reports. 7 (1), 1695 (2017).
  23. Jaworski, E., et al. Human T-lymphotropic virus type 1-infected cells secrete exosomes that contain Tax protein.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9 (32), 22284-22305 (2014).
  24. Heinemann, M. L., et al. Benchtop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unctional exosomes by sequential filtration. Journal of Chromatography. A. 1371, 125-135 (2014).
  25. McNamara, R. P., et al. Large-scale, cross-flow based isolation of highly pure and endocytosis-competent extracellular vesicles. Journal of Extracellular Vesicles. 7 (1), 1541396 (2018).
  26. Heinemann, M. L., Vykoukal, J. Sequential Filtration: A Gentle Method for the Isolation of Functional Extracellular Vesicles.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1660, 33-41 (2017).
  27. Busatto, S., et al. Tangential Flow Filtration for Highly Efficient Concentra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from Large Volumes of Fluid. Cells. 7 (12), (2018).
  28. Andriolo, G., et al. Exosomes From Human Cardiac Progenitor Cells for Therapeutic Applications: Development of a GMP-Grade Manufacturing Method. Frontiers in Physiology. 9, 1169 (2018).
  29. Pleet, M. L., et al. Autophagy, EVs, and Infections: A Perfect Question for a Perfect Time. Frontiers in Cellular and Infection Microbiology. 8, 362 (2018).
  30. Richards, A. L., Jackson, W. T. Intracellular Vesicle Acidification Promotes Maturation of Infectious Poliovirus Particles. PLoS Pathogens. 8 (11), (2012).
  31. Taylor, M. P., Kirkegaard, K. Modification of Cellular Autophagy Protein LC3 by Poliovirus. Journal of Virology. 81 (22), 12543-12553 (2007).
  32. Jackson, W. T., et al. Subversion of cellular autophagosomal machinery by RNA viruses. PLoS biology. 3 (5), e156 (2005).
  33. Suhy, D. A., Giddings, T. H., Kirkegaard, K. Remodeling the Endoplasmic Reticulum by Poliovirus Infection and by Individual Viral Proteins: an Autophagy-Like Origin for Virus-Induced Vesicles. Journal of Virology. 74 (19), 8953-8965 (2000).

Play Video

Cite This Article
DeMarino, C., Barclay, R. A., Pleet, M. L., Pinto, D. O., Branscome, H., Paul, S., Lepene, B., El-Hage, N., Kashanchi, F. Purification of High Yield Extracellular Vesicle Preparations Away from Virus. J. Vis. Exp. (151), e59876, doi:10.3791/59876 (2019).

View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