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Hilar Cholangiocarcinoma에 대한 로봇 타지마할 간 절제술

Published: July 14, 2022
doi:

Summary

타지마할 절차를 사용한 간 S4b, S5 및 S1의 로봇 절제술은 폐문 담관암이 있는 선별된 환자에게 실현 가능하고 안전합니다. 이 수술에 대한 단계별 세부 정보가 여기에 나와 있습니다.

Abstract

Hilar 담관암은 담도의 가장 흔한 악성 종양입니다. 근치적 외과적 절제가 유일하게 효과적인 치료 옵션입니다. 이 연구에서 비스무트 IVa형 폐문 담관암을 앓고 있는 32세 남성 환자는 로봇 수술 시스템에 의한 국소 림프절 절제술, 폐문 담관 재건술 및 간 공장 절제술과 결합된 간 S4b, S5 및 S1(타지마할 간 절제술)의 근치적 로봇 절제술을 받았습니다. 수술 후 병리학적 검사에서 폐문 담관의 적당히 분화된 선암종이 나타났습니다. 간과 담관의 수술 마진은 음성이었습니다. 회복은 순조로웠고 환자는수술 후 17일째에 퇴원했습니다. 유연하고 정확한 움직임과 함께 로봇 수술 시스템 및 관련 여러 기구는 간문맥 주변의 국소 간 절제술과 더 작은 직경의 폐문 담관의 섬세한 재건에 적합합니다. 이 첫 번째 임상 적용 연구는 폐문 담관암에 대한 로봇 타지마할 간 절제술이 안전하고 실현 가능하며 장기적인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더 많은 경험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Introduction

Hilar 담관암은 일반적으로 방사선 요법 및 화학 요법에 내성이 있는 악성 종양의 일종입니다1. 대부분의 폐문 담관암 환자는 진단 후 1 년 만 생존 할 수 있습니다. 외과적 절제술은 폐문 담관암에 대한 유일한 효과적인 치료법입니다2. 최근에, 폐문 담관암종3의 치료를 위한 몇 가지 접근법이 제안되었다.

타지마할 시술은 S4b, S5, S1의 완전 절제술과 국소 림프절 절제술, 간외 담관 절제술, 폐문 담관 재건술, 간 공장 절제술로 구성된다4. 기존의 폐문 담관암 근치 절제술과 달리 타지마할 시술은 반간 절제술과 같은 대규모 간 절제술이 필요하지 않아 환자의 최대 잔류 간 부피를 보존하여 수술에 대한 환자의 내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타지마할 절차는 기술적으로 까다롭고 널리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로봇 수술 시스템은 여러 도구를 제공하며 복강경 수술에 비해 많은 장점이 있어 해부와 봉합을 보다 정밀하게 할 수 있습니다. 본원의 프로토콜은 비스무트 IVa 폐문 담관암종5에 대해 타지마할 절차를 사용하여 로봇 간 S4b, S5 및 S1 절제술을 제시한다.

표시
양측 간동맥 및 문맥이 광범위하게 침범되지 않는 비스무트 II형, III형 및 선택된 IV형 폐문 담관암종 환자, 특히 간 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는 반간절제술을 통한 치료가 필요하다 2,3,4,6.

금기
종양이 간동맥 또는 문맥을 대량으로 침범하여 수술 전 영상 및 수술 중 평가를 통해 혈관 절제 및 재건이 필요합니다. 종양의 상부 범위는 좌문맥의 횡단부와 배꼽 부분 사이의 굴곡으로 정의되는 U점 또는 우문맥의 전방분지와 후문맥의 분기점으로 정의되는 P점을 훨씬 초과한다(7).

사례 발표
32 세의 중국인 남성이 황달과 차 색 소변을 제시했습니다. 환자는 10년 동안 과음과 흡연의 병력이 있었습니다. 실험실 검사에서 CA19-9(31.48U/mL)와 총 빌리루빈(145.7μmol/L)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폐문 담관 벽의 부분적인 두꺼워짐으로 인한 심각한 폐색은 자기 공명 담관 췌장 조영술(MRCP)(그림 1) 및 MRI의 3D 재구성(그림 2)에서 관찰되었습니다. 환자는 비스무트 IV4a 폐문 담관암 진단을 받았습니다. 문간에서의 혈관 침범은 수술 전 평가 및 수술 중 관찰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다학제적 팀은 로봇 타지마할 시술을 사용하여 근치적 절제를 수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Protocol

환자는 과학적 목적을 위한 의료 데이터의 운영 및 사용에 대한 서면 동의서를 제공했습니다. 이 연구는 헬싱키 선언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지역 기관의 인간 연구 윤리 위원회 및 기관 검토 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1. 작동 설정 및 투관침 배치 만족스러운 마취 후 환자를 누운 자세로 30° 역방향 트렌델렌부르크 자세로 놓고 다리를 벌립니다. 멸균 된 박람회를 수행하고 기기 가용성을 확인하십시오. 첫 번째 외과의가 로봇 콘솔 앞에 있고 테이블 옆 외과의가 환자의 다리 사이에 서 있는지 확인합니다. 로봇 시스템 및 로봇 기기의 가용성을 보장합니다(재료 표). 취입기에 연결된 Veress 바늘을 사용하여 배꼽 위 1cm 절개를 통해 복막을 설정합니다(압력을 14mmHg로 설정). Veress 바늘을 제거하고 주입 튜브를 12mm 투관침에 옮긴 다음 투관침을 임시 카메라 포트로 삽입합니다. 카메라 포트를 통해 로봇 내시경을 삽입하고 진단 복강경 검사(로봇 내시경은 보조 외과의가 보유)를 수행하여 유착 상태를 확인하고 복막 전이를 배제하며 수술 타당성을 평가합니다. 그런 다음 내시경의 시각적 안내하에 나머지 4 개의 투관침을 다음과 같이 삽입하십시오.두 번째(양극성 겸자) 및 세 번째(Cadiere 집게) 로봇 팔에 대해 늑골 가장자리 아래의 오른쪽 및 왼쪽 전방 겨드랑이 라인(AAL)에 8mm 투관침을 배치합니다. 배꼽에 5cm 높이의 12mm 투관침을 카메라 포트의 오른쪽 측면 위치에 놓습니다. 첫 번째(전기 응고 후크) 로봇 팔의 위쪽 왼쪽 측면 위치에서 배꼽에 8cm 8mm 투관침을 놓습니다. 카메라 포트로 오른쪽 쇄골 중간 라인의 배꼽 오른쪽에 12mm 투관침을 배치합니다. 보조 포트는 원래 임시 카메라 포트입니다(1.3단계)(그림 3).참고: 포트의 위치는 병변의 위치와 환자의 체형에 따라 조정할 수 있습니다. 2. 복부 검사 및 절제 가능성 평가 로봇 내시경을 사용하여 전체 복부 검사를 수행하여 간, 담낭 및 간 십이지장 인대의 모양과 크기를 관찰하고 종양 절제 가능성을 평가합니다. 종양 전이를 배제하기 위해 내시경을 복강 내로 전진시킵니다. 전기 응고 고리로 작은 망막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해부하여 유문과 십이지장을 내려갑니다. 전기 응고 고리를 사용하여 십이지장의 두 번째 부분의 측면에 약 5cm의 Kocher 절개를 만들어 총 담관의 후십이지장 부분을 노출시킵니다. 흡수성 결찰 클립으로 총담관의 원위 및 근위 그루터기를 자릅니다. 구부러진 가위를 사용하여 췌장의 위쪽 가장자리에 있는 총담관을 절제합니다. 총담관 원위 그루터기의 가장 큰 가장자리에서 조직을 채취하여 동결 절편 병리학적 검사를 위해 보냅니다. 총담관과 간관을 꼬리에서 두부 방향으로, 낭성 삼각형쪽으로 해부합니다. 낭성 덕트와 동맥의 존재를 확인하십시오. 전기 응고 고리를 사용하여 낭성 삼각형을 해부하고 종양과 간동맥 및 문맥 사이의 관계를 확인합니다.참고: 낭성 삼각형은 총간관, 낭성관, 낭성동맥으로 구성됩니다. 흡수성 결찰 클립으로 결찰 후 곡선 가위를 사용하여 낭성 덕트와 동맥을 절제한 다음 담낭 침대에서 담낭과 담낭을 제거합니다. 전기응고 후크와 양극성 겸자가 있는 intraglissonian 접근법8을 사용하여 간동맥과 문맥을 해부합니다. 위 십이지장 동맥, 총 간동맥 및 문맥의 위치를 확인하고 고무 밴드로 고정하십시오.참고: intraglissonian 접근법은 폐문판 너머의 왼쪽, 중간 및 오른쪽 Glissonean 척추경의 전체 다발을 분리하는 데 사용되며, 이를 기반으로 Glissonean 척추경, 간동맥 및 문맥을 각각 해부합니다. 그 후, 선택적 간류 폐색 후 허혈 라인에 따라 규칙적이고 정확한 간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전기 응고 후크와 양극성 집게를 사용하여 폐문 부위의 동맥과 정맥을 골격화합니다.간 십이지장 인대를 해부하고 총 담관을 아래에서 위로 절제합니다. 담관, 적절한 간동맥 및 문맥을 전기 응고 고리와 양극성 겸자로 완전히 해부합니다. 초음파 메스로 가지를 절개하여 동맥과 정맥을 하나씩 노출시킵니다. 8a, 8p 및 12 림프절, 말초 신경 결합 조직 및 간 문맥판을 전기 응고 후크로 절제합니다. 마지막으로 덕트를 따라 섬유질 결합 조직과 림프절을 제거합니다. 좌우 문맥을 동원하고 좌측 문맥 주위에 고무줄을 묶습니다. 초음파 메스를 사용하여 오른쪽 꼬리 엽에서 문맥의 가지를 Transect합니다. 3. 타지마할 간 절제술 및 국소 림프절 절제술 S4b, S5의 절제선과 간 표면의 꼬리엽에 전기응고 후크를 사용하여 라벨을 붙입니다. 간주위 인대를 횡절하고 전기응고 후크와 양극성 겸자로 간의 양측 반쪽을 해리합니다. 초음파 메스와 전기 응고 후크를 사용하여 Kocher의 절개를 확장합니다. 림프절 13a, 16a2, 및 7 및 9 그룹의 일부를 초음파 메스 및 양극성 겸자를 사용하여 절제한다. 이전에 해부된 림프절(8a, 8p 및 12)과 함께 이러한 림프절을 제거하여 블록 국소 림프절 절제술을 달성하여 왼쪽 꼬리엽의 노출을 개선할 수도 있습니다. 전기 응고 후크와 양극성 집게를 사용하여 간 원형 인대와 그 falciform ligament를 Transect합니다. 수술 중 실제 상황에 따라 간내 담관을 충분히 노출시키기 위해 절제선을 교정하십시오. 불독 클램프로 왼쪽 글리소니안 척추경을 막고 초음파 메스로 절제선을 따라 왼쪽 간 실질(S4b)을 절개합니다. 유사하게, 오른쪽 글리소네 척추경을 폐색하고 오른쪽 간 실질을 절제합니다(S5). 수술 클립을 사용하여 간내 글리소니안 시스템과 간정맥의 가지를 유자하고 실질 절개술을 위해 초음파 메스를 사용합니다. S4b와 S5를 완전히 절제합니다.참고: 왼쪽 및 오른쪽 글리소니안 척추경을 폐색하려면 이 과정 전에 글리소니안 내 접근법을 사용하십시오. 꼬리 엽 (caudate lobe)과 슈피겔 (Spiegel) 엽의 간 실질을 Transect하십시오. 마지막으로 S1의 복부 꼬리 부분을 횡절합니다. 4. 간내 담관의 재건 및 양측 간 공장 절개술 간 절단면을 검사하고 꼬리 엽의 담관 구멍을 4-0 봉합사로 닫습니다. 전기 응고 후크(스프레이 응고 모델, 효과 3, 80W)를 사용하여 작은 출혈과 담즙 누출을 막고 4-0 봉합사를 사용하여 더 큰 출혈과 담즙 누출을 막습니다. 실리콘 스텐트를 왼쪽 및 오른쪽 간관의 가지에 삽입하여 덕트의 위치를 확인합니다. 스텐트를 제거하고 우측 간관 가지(B5d/7/8+6)와 좌측 간관 가지(B2-4)의 인접한 벽을 4-0 봉합사로 봉합합니다. 인접한 가지가 충분히 가까우면 CV-4 봉합사를 사용하여 인접한 간관 가지를 중격이 있는 아치형으로 재구성합니다(그림 4A). 나머지 작은 담관 구멍을 4-0 봉합사로 닫습니다. 간 절단면을 지혈 스폰지로 덮으십시오. 전기 응고 후크와 초음파 메스로 위산 인대를 엽니 다. 중간 산통 동맥의 혈관 왼쪽에있는 무 혈관 영역을 열어 공장을 노출시킵니다. 횡방향 중결장을 통해 근위 공장을 수축시킵니다. 공장의 저삼투압 위치에서 CV-4 봉합사를 사용하여 왼쪽 간관(B2-4)에 대해 Treitz 인대에서 약 20cm 떨어진 곳에서 후산통 간공장 절개술을 수행합니다. 동일한 방법으로 우측 간관(b5d/7/8+6)과 공장에 대한 간공장절개술을 시행하고 양측 간공장절개술을 마칩니다(그림 4).참고: 간공장 절개술 전에 문합을 위해 담관 그루터기를 적절하게 동원합니다. 5-0 흡수성 봉합사는 간 공장 절개술에 선호되는 반면, CV-4 ePTFE 모노필라멘트 봉합사 크기와 같은 비 흡수성 봉합사는 더 넓은 문합 부위에 선호됩니다. 절단 스테이플러를 사용하여 공장과 공장 장간막을 담도-장 문합의 근위 그루터기에서 멀리 떨어뜨립니다. 담즙-장 문합의 원위 그루터기에서 약 45cm 떨어진 곳에 절단 스테이플러를 사용하여 좌우 공장 절개술을 수행합니다.참고: 간공장절개술의 긴장을 줄이기 위한 핵심은 긴장이 없는 공장 루프를 준비하는 것입니다. 필요한 경우 공장 동맥의 1-2 가지를 횡단합니다. 간 공장 절개술의 양쪽에 두 개의 서스펜션 봉합사를 넣어 중력과 장 운동성으로 인한 긴장을 더욱 줄입니다. 5. 드레인 배치 간 및 문합 부위의 절단면을 검사하십시오. 4.1 단계에 설명 된대로 출혈과 담즙 누출을 제거하십시오. 담즙-장 문합의 전방 및 후방 부위에 각각 두 개의 배액관을 놓습니다. 6. 수술 후 관리 수술 다음날 비위 관을 제거하십시오. abrosia를 시작하고 3 일 안에 정상적인 식단으로 확장하십시오. 수술 후 1일, 3일, 7일 및 12일에 혈청 총 빌리루빈을 평가합니다. 4일차의 총 빌리루빈이 3일차에 비해 증가한 경우 복부 CT를 수행합니다. 수술 후 1일차부터 3일차까지 배액형 빌리루빈을 평가합니다. 배수구 빌리루빈 수치가 정상 혈청 아밀라아제 상한치의 3배 미만일 때 배수구를 제거하십시오. 퇴원 전 수술 후 회복을 평가하기 위해 복부 CT, 혈액 정기 검사 및 혈액 생화학 검사를 수행합니다.

Representative Results

수술은 결국 간관의 트리밍(그림 4A)과 양측 간공장 절개술의 문합(그림 4B)으로 완료되었습니다. 총 수술 시간은 340분이었고 예상 출혈량은 100mL였습니다(표 1). 인민해방군(PLA) 종합병원의 수술 후 회복 강화(ERAS) 경로는 수술 병동의 수술 후 회복 기간 동안 사용되었습니다. 총 빌리루빈은 회복을 평가하기 위해 수술 후 1일(157.5μmol/L), 3일(162.3μmol/L), 7일(127.6μmol/L) 및 12일(45.9μmol/L)에 측정되었습니다. 배수관을 제거하고 환자는 POD 17로 퇴원했습니다. 검체의 병리학적 분석 결과 적당히 분화된 담관암(IVa, T3N2M0, AJCC 8판 )이 밝혀졌습니다.5. 간과 담관의 수술 마진은 음성이었습니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은 CA19-9, CD10, CDX-2, CEA, CK19, CK7, E-cadherin, EMA, muc-1, MUC-5AC, P53, MLH1, MSH2, MSH6, PMS2 및 HER-2에 대해 양성이었고, CD34, CK20, Syn, muc-2 및 muc-5AC에 대해 음성이었다. 환자는 수술 후 3개월 동안 재발 또는 전이에 대한 실험실 및 방사선학적 증거가 없었습니다(그림 5). 그림 1: 폐문 담관의 폐색을 보여주는 MRCP 스캔. 노란색 원은 담관암 부위를 나타냅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그림 2: MRI의 3D 재구성. (A) 병변, 폐문 담관 및 혈관의 3D 재구성 모델. 빨간색 관은 동맥, 파란색 관은 문맥, 녹색 관은 담관, 노란색 영역은 폐문 담관암, 주황색 영역은 부은 림프절입니다. (B) 폐문 담관의 3D 재구성 모델. B2-B8: 간내 담관의 각 가지.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그림 3: 투관침 배치. 5 개의 투관침이 사용되었습니다. 1: 첫 번째 로봇 팔용 포트; 2: 두 번째 로봇 팔을 위한 포트; 3: 세 번째 로봇 팔용 포트; C: 카메라 포트; A: 보조 포트; 빨간색 원: 8mm 투관침; 파란색 원: 12mm 투관침; RAAL: 우측 중간 겨드랑이 라인; LAAL: 왼쪽 전방 겨드랑이 라인.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그림 4: 타지마할 간 절제술 및 양측 간 공장 절개술 . (A) 간내 담관의 그루터기 식별. B: 담즙, RHA: 우측 간동맥, LHA: 좌측 간동맥, HA: 간동맥 IVC: 하대정맥(B) 빨간색 원은 오른쪽 및 왼쪽 간내 담관의 간공장 절개술 부위를 나타냅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그림 5: 수술 후 3개월 후에 얻은 환자의 MRI. 빨간색 원은 수술 영역의 영역을 나타냅니다. 폐문 담관암에 대한 타지마할 간 절제술 후 변화; 간내 담관의 경미한 확장; 종양 재발 없는 간 재생.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변수 결과 수술 중 수술 시간, 분 340 수술 중 실혈, mL 100 수술 배수구 제거, 일 17 수술 후 입원, 일수 17 병리학 적 진단 중등도 분화 담관암, 2.0cm 포지티브 마커 CA19-9, CD10, CDX-2, CEA, CK19, CK7, E-cadherin, EMA, muc-1, MUC-5AC, P53, MLH1, MSH2, MSH6, PMS2, HER-2 네거티브 마커 CD34, CK20, Syn, muc-2, muc-5AC 표 1 : 수술의 대표적인 결과.

Discussion

좌측 간관이 우측 간관보다 길고 해부학적 변이가 적기 때문에, 우측 간절제술 후 잔여 좌측 간관은 양성 변연의 위험이 감소한다9. 폐문 담관암의 경우 일반적으로 좌측 간 절제술에 비해 해부학적 이점으로 인해 우측 간 절제술이 시행되지만 대규모 간 절제술의 합병증 및 사망률 증가로 인해 간 기능이 좋지 않은 폐문 담관암 환자에서 반간절제술의 적용이 제한됩니다.

폐문 담관암 환자에서 최대 간 실질을 보존하기 위해 S4b, S5 및 S1 절제술(타지마할 간 절제술)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 수술에 비해 타지마할 시술은 정상 간 조직의 손상을 크게 줄이고 정상 간 조직을 더 많이 보존하며 급성 간부전과 같은 심각한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을 줄입니다. 더 중요한 것은 근치적 종양 절제술의 원리를 따르고 P 점 또는 U 점 내에서 더 높은 절제 마진을 얻을 수 있어 폐문 담관암에 대한 세로 절제 마진 및 횡 절제 마진의 음률을 보장한다는 것입니다. 담관의 말초 조직도 타지마할 간 절제술에서 완전히 절제할 수 있어 횡절개 절개 마진의 음률도 향상됩니다. 타지마할의 간절제술은 간을 두 면을 따라 절제하여 간을 제거하고, 4개 이상의 간내 담관을 문합해야 한다10. 타지 마할 간 절제술에는 기술적으로 어려운 세 단계가 있습니다 : 비 반간 절제술 하에서 꼬리 소엽의 복부 부분 절제술,짧은 간정맥 혈관의 안전한 해부 및 2 개 이상의 간 공장 절개술. 복잡한 수술 기술 때문에 타지마할 간 절제술은 거의 보고되지 않습니다. 폐문 담관암의 근치적 절제술을 위한 타지마할 시술은 1999년에 처음 기술되었다4. 개방적인 접근 방식이었고 심각한 수술 전후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그 이후로 기술적 어려움과 수술 경험 부족으로 인해 절차를보고 한 센터는 거의 없습니다.

로봇 수술 시스템은 최적의 수술 시야를 제공하여 폐문 구조의 노출을 개선하고 림프절(11)의 철저한 절개로 폐문관의 골격화를 용이하게 합니다. 또한 다발성 간 공장 절개술이 더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됩니다. 이 실질 보존 기술은 수술적 내성과 환자의 예후를 개선한다12. 여러 연구에서 폐문 담관암 환자에서 근치적 로봇 절제술의 성공이 보고되었습니다13,14,15. Xu etal 16은 폐문 담관암 환자에서 로봇 반간 절제술 및 꼬리 엽 절제술 32건을 보고했으며 엄격하게 선택된 환자에게만 절차를 수행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후속 연구에서는 폐문 담관암 환자의 로봇 절제술에 대해 허용 가능한 장기 효능을 추가로 입증했다17. 이러한 이전 보고서는 폐문 담관암 환자에서 로봇 근치 절제술의 증가 추세를 보여주었습니다. 체계적인 검토에 따르면 폐문 담관암에 대한 근치 적 수술의 타당성과 안전성은 복강경 또는 로봇 보조 시스템과 같은 기술 혁신과 수술 경험의 점진적인 축적으로 향상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18.

마진 음성 절제술은 폐문 담관암에 대한 근치 절제술을 받는 환자의 장기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입니다. 마이너스 마진을 가진 환자의 평균 생존 (27-58 개월) 및 5 년 생존 (27 % -47 %)은 양성 마진을 가진 환자의 평균 생존 (12-21 개월) 및 5 년 생존 (0 % -23 %)에 비해 유의하게 길다 2,19,20,21,22,23 . 양측 2차 담관을 침범하는 폐문 담관암의 경우, 근치적 절제술은 절단면에 간관의 여러 그루터기를 초래합니다. 간관 재건술과 간공장절개술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수술 후 회복과 장기적인 결과의 핵심입니다. 저자의 경험에 따르면 최대 8 개의 간내 담관이 간관 성형술에 의해 하나의 구멍으로 형성 될 수 있습니다.

후기 체계적 문헌고찰에 따르면 복강경 수술과 폐문 담관암에 대한 로봇 수술의 평균 입원 기간은 14일이었다18. 그러나 제시된 데이터에 따르면 총 빌리루빈 수치는 이미 배출 기준에 도달한 POD 12에서 정상 수준으로 돌아왔습니다. 이 환자는 다른 합병증으로 인해 POD 17로 퇴원했습니다.

이 기사는 로봇 타지마할 간 절제술이 폐문 담관암 환자의 최소 침습적 근치 절제술에 안전하고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로봇 수술은 폐문 담관의 해부 및 문합에서 복강경 및 개방 접근법에 비해 장점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폐문 담관암의 근치 절제술은 병변의 위치와 정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철저한 수술 전 의료 영상 검사와 다학제적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Disclosure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저자는 인정하지 않습니다.

Materials

4-0 Non-Absorbable Suture Ethicon, USA W8761 Synthetic non-absorbable Suture
5-0 Non-Absorbable Suture Ethicon, USA W8556 Synthetic non-absorbable Suture
Collagen Sponge Beidi, CHINA 20143642302 Used for hemostasis
Da Vinci Robotic Surgical System Intuitive Surgical, USA Si Surgical Robot Instrument
Disposable Ligation Clip(Medium) KANG JI ,CHINA KJ-JZJ06ML Used for ligature
Endo GIA 60 mm Articulating Stapler with Tri-Stapler Technology Covidien (Dublin, Ireland) EGIA60AMT Laparoscopic Surgical Stapler
EndoWrist Cadiere Forceps Intuitive Surgical, USA 420049 Surgical Robot Instrument
ENDOWRIST Fenestrated Bipolar Forceps Intuitive Surgical, USA 470205 Surgical Robot Instrument
EndoWrist Large Needle Driver Intuitive Surgical, USA 420006 Surgical Robot Instrument
EndoWrist Permanent Cautery Hook Intuitive Surgical, USA 420183 Surgical Robot Instrument
Gore-Tex Suture Gore, USA 4N04 Synthetic non-absorbable Suture
Harmonic Ace Curved Shears Ethicon, USA 420275 Used for cutting and coagulation
High Frequency Electrotome COVIDIEN, USA FORCE FX-8C Used for electrocoagulation hemostasis
Silicone Catheter Kang Wei, CHINA Fr8 Used for define the bile duct
Specimen Fetch Bag GZTK, CHINA HSD-130 Used for removeing the specimen

References

  1. Høgdall, D., Lewinska, M., Andersen, J. B. Desmoplastic tumor microenvironment and immunotherapy in cholangiocarcinoma. Trends in Cancer. 4 (3), 239-255 (2018).
  2. Mansour, J. C., et al. Hilar cholangiocarcinoma: expert consensus statement. The Offici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Hepato Pancreato Biliary Association (Oxford). 17 (8), 691-699 (2015).
  3. Li, H., et al. Interventional treatment for cholangiocarcinoma). Frontiers in Oncology. 11, 671327 (2021).
  4. Kawarada, Y., et al. S4a + $5 with caudate lobe (S 1) resection using the Taj Mahal liver parenchymal resection for carcinoma of the biliary tract. Journal of Gastxointesdnal Surgery. 3 (4), 369-373 (1999).
  5. Bismuth, H., Corlette, M. B. Intrahepatic cholangioenteric anastomosis in carcinoma of the hilus of the liver. Surgery Gynecology and Obstetrics. 140 (2), 170-178 (1975).
  6. Amin, M. B., et al. . AJCC Cancer Staging Manual. 8th ed. , (2017).
  7. Hirano, S., et al. Treatment strategy for hilar cholangiocarcinom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limits of ductal resection in right-sided hepatectomies. Journal of Hepato-Biliary-Pancreatic Surgery. 14 (5), 429-433 (2007).
  8. Machada, M. A., et al. Laparoscopic resection of left liver segments using the intrahepatic Glissonian approach. Surg Endosc. 11 (11), 2615-2619 (2009).
  9. Marino, M. V., Pellino, G., Ahmad, A. The robotic-assisted approach for left-side predominance hilar cholangiocarcinoma: a video technique. Updates in Surgery. 72 (3), 911-912 (2020).
  10. Vauthey, J. N., Blumgart, L. H. Recent advances in the management of cholangiocarcinomas. Seminars in Liver Disease. 14 (2), 109-114 (1994).
  11. Özgüner, O., et al. Camera-robot calibration for the da Vinci robotic surgery system. IEEE Transaction on Automation Science and Engineering. 17 (4), 2154-2161 (2020).
  12. Araujo, R. L. C., Sanctis, M. A., Barroti, L. C., Coelho, T. R. V. Robotic approach as a valid strategy to improve the access to posterosuperior hepatic segments-Case series and review of literature.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121 (5), 873-880 (2020).
  13. Cillo, U., D’Amico, F. E., Furlanetto, A., Perin, L., Gringeri, E. Robotic hepatectomy and biliary reconstruction for perihilar cholangiocarcinoma: a pioneer western case series. Updates in Surgery. 73 (3), 999-1006 (2021).
  14. Sucandy, I., Ross, S., Rosemurgy, A. robotic resection of a Type IIIB Klatskin tumor. Journal of Gastrointestestinal Surgery. 25 (7), 1939-1940 (2021).
  15. Troisi, R. I., et al. Robotic approach to the liver: Open surgery in a closed abdomen or laparoscopic surgery with technical constraints. Surgical Oncology-Oxford. 33, 239-248 (2020).
  16. Xu, Y., et al. Robotic radical resection for hilar cholangiocarcinoma: perioperative and long-term outcomes of an initial series. Surgical Endoscopy and Other Interventional Techniques. 30 (7), 3060-3070 (2016).
  17. Chou, S., et al. Robotic hilar cholangiocarcinoma radical resection compared with laparotomy in prognosis. Zhonghua Wai Ke Za Zhi. 58 (3), 230-234 (2020).
  18. Wang, W., et al. Laparoscopic surgery and robotic surgery for hilar cholangiocarcinoma: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Z Journal of Surgery. 91 (1-2), 42-48 (2021).
  19. Stremitzer, S., et al. Prognosis and circumferential margin in patients with resected hilar cholangiocarcinoma.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8 (3), 1493-1498 (2021).
  20. Gomez, D., et al. Impact of specialized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an integrated pathway on outcomes in hilar cholangiocarcinoma. European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40 (1), 77-84 (2014).
  21. Nagino, M., et al. Evolution of surgical treatment for perihilar cholangiocarcinoma: a single-center 34-year review of 574 consecutive resections. Annals of Surgery. 258 (1), 129-140 (2013).
  22. Matsuo, K., et al. The Blumgart preoperative staging system for hilar cholangiocarcinoma: analysis of resectability and outcomes in 380 patient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215 (3), 343-355 (2012).
  23. Jarnagin, W., Winston, C. Hilar cholangiocarcinoma: diagnosis and staging. The Offici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Hepato Pancreato Biliary Association (Oxford). 7 (4), 244-251 (2005).

Play Video

Cite This Article
Deng, Z., Zhao, G., Wang, Z., Yu, L., Zou, W., Li, L., Liu, R. Robotic Taj Mahal Hepatectomy for Hilar Cholangiocarcinoma. J. Vis. Exp. (185), e63648, doi:10.3791/63648 (2022).

View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