概要

뇌졸중 후 상지 운동 기능 장애의 재활을 위한 운동 이미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Published: September 01, 2023
doi:

概要

이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후 상지 운동 기능 장애에 대한 운동 영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MI-BCI)의 표준 임상 작동에 대한 중요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Abstract

뇌졸중 후 중등도 또는 중증의 상지 운동 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의 재활 효과는 좋지 않으며, 이는 직면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연구의 초점이 되어 왔습니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는 뇌 신경 과학 연구에서 가장 주목받는 첨단 기술입니다. 사용자 또는 대상의 감각 지각, 이미지, 인지 및 사고를 말초 신경이나 근육에 의존하지 않고 행동으로 직접 변환하여 뇌와 외부 장치 간의 직접적인 의사 소통 및 제어 채널을 설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운동 영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MI-BCI)는 비침습적 재활 수단으로서의 재활의 가장 일반적인 임상 응용 분야입니다. 이전 임상 연구에서 MI-BCI가 뇌졸중 후 환자의 운동 기능 장애를 긍정적으로 개선한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그러나 임상 운영 실증이 부족합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뇌졸중 후 중등도 및 중증의 상지 기능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MI-BCI의 치료를 상세히 설명하고, 임상기능 평가 및 뇌 기능 평가 결과를 통해 MI-BCI의 중재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임상재활 응용 및 기전 연구를 위한 아이디어와 참고 자료를 제공한다.

Introduction

뇌졸중 환자의 약 85%가운동기능장애를 가지고 있으며1, 특히 중등도 및 중증의 상지 운동기능 장애 환자의 재활 효과가 제한적으로 나타나 환자의 독립적인 일상생활 능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연구의 초점이자 어려움이 되고 있다. 비침습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는 뇌졸중 후 운동 기능 장애의 재활을 위한 새로운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 BCI는 사용자 또는 대상의 감각 지각, 이미지, 인지 및 사고를 말초 신경이나 근육에 의존하지 않고 행동으로 직접 변환하여 뇌와 외부 장치 간의 직접적인 통신 및 제어 채널을 설정하는 것입니다3. 현재 임상재활을 위한 BCI의 패러다임에는 운동영상(MI), 정상상태시각유발전위(SSVEP), 청각유발전위(AEP) 등이있으며, 그 중 가장 일반적이고 편리한 것은 운동영상뇌-컴퓨터 인터페이스(MI-BCI)이다. MI는 시각/운동 감각 운동 이미지를 사용하여 운동 작업(예: 손, 팔 또는 발 움직임)의 실행을 시각화하는 중재입니다. 한편으로, 이전의 연구들은 MI 동안 관련 운동 피질의 활성화가 실제 운동 실행과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5. 반면에 다른 패러다임과 달리 MI는 운동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부 자극 없이 운동 기억을 통해 특정 활동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뇌졸중 환자, 특히 청각 기능 장애와 결합될 때 도움이 된다6.

또한, MI-BCI는 뇌졸중 환자의 운동 기능 장애를 개선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heng et al.은 단순 소프트 로봇 장갑 중재술과 비교했을 때, MI-BCI 기반의 소프트 로봇 장갑과 일상 생활 활동 중심의 작업을 결합하면 중재 6주 후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더 뚜렷한 기능 개선과 더 지속적인 운동 감각 경험을 보여주었다고 보고했습니다. 또한, 운동 움직임에 대한 인식을 유도할 수 있었다7. 또한, Ang et al.은 무작위 중재를 위해 중등도에서 중증의 상지 기능 장애가 있는 21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포함했습니다. 임상 기능은 Fugl-Meyer 상지 평가(FMA-UE)에 의한 중재 전후에 평가되었습니다. 그 결과, 단순 햅틱 노브(HK) 로봇 중재(HK 그룹) 및 표준 팔 치료 중재(SAT 그룹)와 비교했을 때, MI-BCI 중재(BCI-HK 그룹)에 기반한 HK의 모션 이득 효과가 다른 두 그룹보다 유의하게 우수했다8. 그러나 MI-BCI의 구체적인 작동은 여전히 규범적 기준을 필요로 하며, 신경 리모델링의 메커니즘을 완전히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MI-BCI의 임상적 적용 및 홍보가 제한됩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지 운동기능 장애가 있는 36세 남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MI-BCI의 중재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중재 전후의 기능적 결과 변화와 뇌 기능 리모델링을 요약하여 MI-BCI의 완전한 작동 과정을 입증하고, 임상 재활 응용 및 기전 연구를 위한 아이디어와 참고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Protocol

이 프로젝트는 광저우 의과대학 제5부속병원 의료윤리협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승인 번호. KY01-2021-05-01) 2021년 8월 19일. 이 임상시험은 2021년 8월 19일 중국 임상시험 등록부(등록 번호: NO. ChiCTR2100050162)에 등록되었습니다. 모든 환자는 정보에 입각한 동의서에 서명했습니다. 1. 채용 포함 기준제4차 전국 뇌혈관 질환 회의(National Conference on Cerebrovascular …

Representative Results

이 연구는 36세 남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MI-BCI 중재 전후의 뇌 기능의 임상적 기능과 리모델링을 제시합니다. 뇌출혈 후 4개월 이상 경과한 후 영상 검사 결과 우측 전두엽과 우측 기저핵 영역-방사선 크라운 영역에서 만성 출혈 집중이 관찰되었습니다. 환자는 뇌출혈로 인한 회복기 중 왼쪽 사지 운동 기능 장애 진단을 받았습니다. MI-BCI의 간단한 외래 환자 치료는 병원에서 10일(30분/세션/일) …

Discussion

뇌졸중 후 중등도 및 중증의 상지 운동기능 장애는 재활 기간이 길고 회복이 어려워 항상 임상 재활 연구의 초점이 되어 왔다18. 전통적인 상지 재활 훈련은 대부분 단순 말초 중재 또는 중추 중재19. 한편, 중등도 및 중증 사지 기능 장애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부족하여 수동적 치료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재활 효과는 미흡하다20. 따라서 새?…

開示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이 연구는 광둥성 국립과학재단(No.2023A1515010586), 광저우 임상특성기술 구축사업(2023C-TS19), 광동성 교육과학계획사업(No.2022GXJK299), 광저우시 보건 및 가족계획 일반지도 프로그램(20221A011109, 20231A011111), 2022년 광저우 고등교육 교육 품질 및 교육 개혁 프로젝트 고등 교육 개혁 일반 프로젝트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No.2022JXGG088/02-408-2306040XM), 2022년 광저우 의과대학 학생 혁신 능력 향상 계획 프로젝트(No.PX-66221494/02-408-2304-19062XM), 2021년 학교 수준 교육 과학 계획 프로젝트(2021: NO.45), 2023년 고급 대학 일류 학부 전공 구축 기금(2022JXA009, 2022JXD001, 2022JXD003)/(02-408-2304-06XM)), 광저우 교육국 대학 연구 프로젝트(202235384호), 2022년 광저우 의과대학 학부 교육 품질 및 교육 개혁 프로젝트(2022년 33호), 광둥성 국가과학재단(2021A1515012197), 광저우 및 대학 재단(202102010100호).

Materials

MI-BCI Rui Han, China RuiHan Bangde NA
E-Prime  version 3.0 behavioral research software.
fNIRS Hui Chuang, China NirSmart-500 NA
NirSpark preprocess near-infrared data

参考文献

  1. Dawson, J., et al. Vagus nerve stimulation paired with rehabilitation for upper limb motor function after ischaemic stroke (VNS-REHAB): a randomised, blinded, pivotal, device trial. Lancet. 397 (10284), 1545-1553 (2021).
  2. Lin, Q., et al. The Frequency Effect of the Motor Imagery Brain Computer Interface Training on Cortical Response in Healthy Subject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Study. Frontiers in Neuroscience. 16, 810553 (2022).
  3. Carino-Escobar, R. I., et al. Longitudinal Analysis of Stroke Patients’ Brain Rhythms during an Intervention with a Brain-Computer Interface. Neural Plasticity. 2019, 7084618 (2019).
  4. Mane, R., Chouhan, T., Guan, C. BCI for stroke rehabilitation: motor and beyond. Journal of Neural Engineering. 17 (4), 041001 (2020).
  5. Khan, M. A., Das, R., Iversen, H. K., Puthusserypady, S. Review on motor imagery based BCI systems for upper limb post-stroke neurorehabilitation: From designing to application. Computers In Biology And Medicine. 123, 103843 (2020).
  6. Hendricks, H. T., van Limbeek, J., Geurts, A. C., Zwarts, M. J. Motor recover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3 (11), 1629-1637 (2002).
  7. Cheng, N., et al. Brain-Computer Interface-Based Soft Robotic Glove Rehabilitation for Stroke.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67 (12), 3339-3351 (2020).
  8. Ang, K. K., et al. Brain-computer interface-based robotic end effector system for wrist and hand rehabilitation: results of a three-arm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for chronic stroke. Frontiers in Neuroengineering. 7, 30 (2014).
  9. Nuwer, M. R., et al. IFCN standards for digital recording of clinical EEG.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Clinical Neurophysiology.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52, 11-14 (1999).
  10. Klem, G. H., Lüders, H. O., Jasper, H. H., Elger, C. The ten-twenty electrode system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Clinical Neurophysiology.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52, 3-6 (1999).
  11. Uwe Herwig, ., Peyman Satrapi, ., Schönfeldt-Lecuona, C. Using the international 10-20 EEG system for positioning of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Brain Topography. , (2003).
  12. Mane, R., Robinson, N., Vinod, A. P., Lee, S. W., Guan, C. A Multi-view CNN with Novel Variance Layer for Motor Imagery Brain Computer Interface.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2020, 2950-2953 (2020).
  13. Sanford, J., Moreland, J., Swanson, L. R., Stratford, P. W., Gowland, C. Reliability of the Fugl-Meyer assessment for testing motor performance in patients following stroke. Physical Therapy. 73 (7), 447-454 (1993).
  14. Martinez, C., et al. A Reaching Performance Scale for 2 Wolf Motor Function Test Item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01 (11), 2015-2026 (2020).
  15. Dufouil, C., et al. Population norms for the MMSE in the very old: estimates based on longitudinal data.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Neurology. 55 (11), 1609-1613 (2000).
  16. Thompson, E.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 (HAM-A). Occupational Medicine. 65 (7), 601 (2015).
  17. Zimmerman, M., Martinez, J. H., Young, D., Chelminski, I., Dalrymple, K. Severity classification on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50 (2), 384-388 (2013).
  18. Bai, X., et al. Different Therapeutic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Upper and Lower Limb Recovery of Stroke Patients with Motor Dysfunction: A Meta-Analysis. Neural Plasticity. 2019, 1372138 (2019).
  19. Dimyan, M. A., Cohen, L. G. Neuroplasticity in the context of motor rehabilitation after stroke. Nature Reviews Neurology. 7 (2), 76-85 (2011).
  20. Bai, Z., Fong, K. N. K., Zhang, J. J., Chan, J., Ting, K. H. Immediate and long-term effects of BCI-based rehabilitation of the upper extremit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7 (1), 57 (2020).
  21. Yang, W., et al. The Effect of Brain-Computer Interface Training on Rehabilitation of Upper Limb Dysfunction After Strok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Frontiers in Neuroscience. 15, 766879 (2021).
  22. Pandian, S., Arya, K. N. Stroke-related motor outcome measures: do they quantify the neurophysiological aspects of upper extremity recovery. Journal of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18 (3), 412-423 (2014).
  23. Potter, S. M., El Hady, A., Fetz, E. E. Closed-loop neuroscience and neuroengineering. Frontiers in Neural Circuits. 8, 115 (2014).
  24. Nowak, D. A., Grefkes, C., Ameli, M., Fink, G. R. Interhemispheric competition after stroke: brain stimulation to enhance recovery of function of the affected hand.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3 (7), 641-656 (2009).

Play Video

記事を引用
Jiang, Y., Yin, J., Zhao, B., Zhang, Y., Peng, T., Zhuang, W., Wang, S., Huang, S., Zhong, M., Zhang, Y., Tang, G., Shen, B., Ou, H., Zheng, Y., Lin, Q. Motor Imagery Brain-Computer Interface in Rehabilitation of Upper Limb Motor Dysfunction After Stroke. J. Vis. Exp. (199), e65405, doi:10.3791/65405 (2023).

View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