概要

글리코겐 구조 측정을 위한 간 글리코겐 분자 추출

Published: February 08, 2022
doi:

概要

최적의 슈크로스 농도는 슈크로스 밀도 구배 원심분리를 사용하여 간 글리코겐의 추출을 위해 결정하였다. 글리코겐 분해 효소를 억제하기 위해 10분 끓는 단계를 추가하면 유익한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Abstract

간 글리코겐은 동물의 혈당 수치 유지에 관여하는 과분지 포도당 중합체입니다. 글리코겐의 특성은 그 구조의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글리코겐의 대표 샘플을 분리하는 적절한 추출 방법은 이 거대분자 연구에 매우 중요합니다. 다른 추출 방법과 비교하여, 슈크로스 밀도 구배 원심분리 단계를 사용하는 방법은 분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기초로, 최근의 간행물에서는 원심분리 중에 사용되는 슈크로스 용액의 밀도를 변화(30%, 50%, 72.5%)하여 다양한 크기의 글리코겐 입자를 추출하는 데 가장 적합한 농도를 찾아 더 작은 입자의 손실을 제한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글리코겐 분해 효소를 변성시켜 글리코겐을 보존하는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해 10분 끓는 단계를 도입했습니다. 가장 낮은 슈크로스 농도(30%)와 비등 단계의 첨가는 글리코겐의 가장 대표적인 샘플을 추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troduction

글리코겐(Glycogen)은 동물, 곰팡이 및 박테리아에서 발견되는 포도당의 복잡한 과분지 중합체입니다1. 포유류에서 간 글리코겐은 항상성을 보존하는 혈당 완충 역할을 하는 반면, 근육 글리코겐은 에너지를 직접 공급하는 단기 포도당 저장소 역할을 한다2. 글리코겐의 구조는 종종 세 가지 수준으로 설명됩니다(그림 1 참조). 1. 선형 사슬은 (1→4)-α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포도당 단량체에 의해 형성되며, 분기점은 (1→6)-α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됩니다. 2. 특히 골격근과 같은 조직에서 독립적 인 글리코겐 분자 3,4로 작용하는 고도로 분지 된 β 입자 (직경 ~ 20 nm); 3. 더 작은 β 글리코겐 단위로 구성된 더 큰 α 글리코겐 입자(직경 300nm까지)는 간5, 심장6 및 일부 비포유류 종7에서 발견된다. 당뇨병 마우스의 간 α 입자는 분자적으로 깨지기 쉬우며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에 용해될 때 β 입자로 분해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비당뇨병 대조군의 α 입자는 일반적으로 변하지 않습니다. 한 가지 가설은 이러한 취약성이 당뇨병에서 볼 수 있는 열악한 혈당 균형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깨지기 쉬운 α 입자가 잠재적으로 더 빠르게 분해되는 β 입자 8,9,10,11의 비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전통적인 글리코겐 추출 방법은 간 조직을 뜨거운 알칼리성 용액(12) 또는 트리클로로아세트산(TCA)13 또는 과염소산(PCA)14과 같은 산 용액에 노출시키는 비교적 가혹한 조건을 이용합니다. 간 조직의 다른 성분에서 글리코겐을 분리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이러한 방법은 필연적으로 글리코겐 구조를 어느 정도 저하시킵니다15,16. 이러한 방법은 글리코겐 함량의 정량적 측정에 적합하지만 이러한 구조적 손상으로 인해 글리코겐에 대한 구조적 정보를 얻는 데 중점을 둔 연구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방법의 개발 이후, 슈크로스 밀도 구배 초원심분리 17,18,19와 함께 차가운 트리스 완충액(글루코시다제 분해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남)을 활용하는 보다 온화한 추출 절차가 개발되었다. pH가 ~8로 제어된 상태에서 이 방법은 글리코겐을 이전 절차에서 볼 수 있는 산 또는 알칼리성 가수분해에 노출시키지 않습니다.

균질화된 간 조직의 자당 밀도 구배 초원심분리는 대부분의 세포 물질에서 글리코겐 입자를 분리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정제는 제조용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부착된 글리코겐-결합 단백질(20)과 함께 정제된 글리코겐을 수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보다 온화한 조건에서, 글리코겐의 구조를 보존할 가능성이 더 높지만, 글리코겐의 일부가 상층액, 특히 밀도가 낮은 더 작은 글리코겐 입자에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는 어렵다15. 글리코겐 손실의 또 다른 잠재적 원인은 온화한 조건에서 일부 효소 분해가 발생하여 더 가혹한 추출 방법에 비해 글리코겐 수율이 낮아진다는 것입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글리코겐21의 구조를 보존하기 위해 간-글리코겐 추출 방법을 최적화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여기서, 다양한 슈크로스 농도(30%, 50%, 72.5%)를 시험하여 더 낮은 슈크로스 농도가 더 작은 글리코겐 입자의 손실을 최소화하는지 여부를 결정하였다. 그 근거는 밀도가 낮을수록 더 작고 밀도가 낮은 입자가 자당 층을 관통하여 나머지 글리코겐과 함께 펠릿에 응집될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글리코겐 분해 효소가 변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해 10분 끓는 단계가 있는 추출 방법과 없는 추출 방법을 비교하여 부분 분해가 없는 더 많은 글리코겐을 추출했습니다. 추출된 글리코겐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해 전체 분자 크기 분포 및 글리코겐 사슬 길이 분포를 사용했으며, 이는 이전에 발표된 전분 추출 최적화와 유사합니다22. 시차 굴절률(DRI) 검출 기능이 있는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EC)를 사용하여 총 분자량을 분자 크기의 함수로 설명하는 글리코겐의 크기 분포를 얻었습니다. 형광단 보조 탄수화물 전기영동(FACE)을 사용하여 각 주어진 크기(또는 중합 정도)의 글루코시드 사슬의 상대적 수를 설명하는 사슬 길이 분포를 분석했습니다. 본 논문은 이전의 최적화 연구21을 기반으로 간 조직에서 글리코겐을 추출하는 방법론을 설명한다. 데이터는 글리코겐 구조를 보존하는 데 가장 적합한 방법이 10분 끓는 단계로 30%의 자당 농도임을 시사합니다.

Protocol

이 절차(21 )를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된 마우스 간은 12마리의 수컷 BKS-DB/Nju 배경 마우스(7.2주령, 재료 표 참조)로부터 얻은 것이었다. 동물 사용은 우한 대학 동물 관리 및 윤리 위원회의 인민 병원, IACUC 문제 번호에 의해 승인되었습니다. WDRM 20181113. 1 동물 조직 쥐의 간(각 쥐의 전체 간 1-1.8g)의 무게를 잰다. 쥐의 간을 액체 질소에 …

Representative Results

상술한 절차가 가장 최적의 방법(10분 비등 단계를 첨가한 30% 슈크로스)에 대한 것이지만,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3개의 슈크로스 농도(30%, 50%, 72.5%)를 통해 추출된 글리코겐에 대한 데이터가 여기에 제공된다(21). 프로토콜에 따라, 상이한 조건에 의해 추출된 건조 글리코겐의 순도, 조율 및 글리코겐 수율은표 21에서 재현된 표 1에 나와 있다. 다양한…

Discussion

이전 연구에 따르면 글리코겐의 구조는 그 특성에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분자 크기는 글리코겐(10)의 분해 속도에 영향을 미치고, 사슬 길이 분포는 이의 용해도(26)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관계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대표적이고 손상되지 않은 샘플을 가능한 한 많이 분리하는 절차로 글리코겐을 추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통적인 추출 방법은 고온 알칼리…

開示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저자는 FACE에 대한 기술 지원을 해준 Mr. Gaosheng Wu와 Miss Yunwen Zhu, SEC에 대한 기술 지원을 해준 Mr. Zhenxia Hu와 Mr. Dengbin에게 감사를 표합니다. MAS는 Advance Queensland Industry Research Fellowship, Mater Foundation, Equity Trustees, L G McCallam Est and George Weaber Trusts의 지원을 받습니다. 이 연구는 장쑤 고등 교육 기관의 우선 학업 프로그램, 중국 자연 과학 재단 보조금 C1304013151101138, 2017 장쑤 혁신 및 기업가 정신 인재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그림 1-5는 BioRender를 사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Materials

8-aminopyrene-1,3,6-trisulfonate (APTS) SIGMA Aldrich 9341 0.1 M solution
Acetic acid SIGMA Aldrich 695092 0.1 M, pH 3.5 solution
Agilent 1260 Infinity SEC system Agilent, Santa Clara, CA, USA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SEC)
BKS-DB/Nju background mice Nanjing Biomedical Research Institution of Nanjing University
D-Glucose Assay Kit (GOPOD Format) Megazyme K-GLUC
Ethylenedinitrilotetraacetic acid (EDTA) SIGMA Aldrich 431788
Homogenizer IKA T 25
Hydrochloric acid SIGMA Aldrich 2104 0.1 M solution
Hydrochloric acid SIGMA Aldrich 2104 0.1 M solution
P/ACE MDQ plus system Ab Sciex, US Fluorophore-assisted carbohydrate electrophoresis (FACE)
Refractive index detector Optilab UT-rEX, Wyatt, Santa Barbara, CA, USA)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SEC)
Sodium acetate SIGMA Aldrich 241245 1 M, pH 4.5 solution
Sodium azide SIGMA Aldrich S2002
Sodium chloride SIGMA Aldrich S9888
Sodium cyanoborohydride SIGMA Aldrich 156159 1 M solution
Sodium fluoride SIGMA Aldrich 201154
Sodium hydroxide SIGMA Aldrich 43617 0.1 M solution
Sodium nitrate SIGMA Aldrich NISTRM8569
Sodium pyrophosphate SIGMA Aldrich 221368
Sucrose SIGMA Aldrich V90016
SUPREMA pre-column, 1,000 and 10,000 columns Polymer Standards Services, Mainz, Germany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SEC)
Trizma SIGMA Aldrich T 1503
Ultracentrifuge tubes Beckman 4 mL, Open-Top Thinwall Ultra-Clear Tube, 11 x 60 mm

参考文献

  1. Hills, D. M., Heller, H. C., Hacker, S. D., Hall, D. W., Sadava, D., Laskowski, M., Freeeman, W. H. . Life: the science of biology. 12th edn. , (2020).
  2. Calder, P. C., Geddes, R. Glycogen of high molecular weight from mammalian muscle. Carbohydrate Research. 135 (2), 249-256 (1985).
  3. Rybicka, K. K. Glycosomes – The organelles of glycogen metabolism. Tissue and Cell. 28 (3), 253-265 (1996).
  4. Takeuchi, T., Iwamasa, T., Miyayama, H. Ultrafine structure of glycogen macromolecules in mammalian-tissues. Journal of Electron Microscopy. 27 (1), 31-38 (1978).
  5. Drochmans, P. Morphologie du glycogene – etude au microscope electronique de colorations negatives du glycogene particulaire. Journal of Ultrastructure Research. 6, 141-163 (1962).
  6. Besford, Q. A., et al. The structure of cardiac glycogen in healthy m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51 (5), 887-891 (2012).
  7. Lumsden, R. D. Macromolecular structure of glycogen in some cyclophyllidean and trypanorhynch cestodes. Journal of Parasitology. 51 (4), 501-515 (1965).
  8. Deng, B., et al. Molecular structure of glycogen in diabetic liver. Glycoconjugate Journal. 32 (3-4), 113-118 (2015).
  9. Deng, B., et al. The mechanism for stopping chain and total-molecule growth in complex branched polymers, exemplified by glycogen. Biomacromolecules. 16 (6), 1870-1872 (2015).
  10. Jiang, X., et al. The molecular-size dependence of glycogen enzymatic degradation rate and its importance for diabetes. European Polymer Journal. 82 (1), 175-180 (2016).
  11. Hu, Z., et al. Glycogen structure in type 1 diabetic mice: towards understanding the origin of diabetic glycogen molecular frag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128, 665-672 (2019).
  12. Suzuki, Y., et al. Insulin control of glycogen metabolism in knockout mice lacking the muscle-specific protein phosphatase PP1G/R-GL.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21 (8), 2683-2694 (2001).
  13. Stetten, M. R., Katzen, H. M., Stetten, D. Metabolic inhomogeneity of glycogen as a function of molecular weight.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22 (2), 587-599 (1956).
  14. Nahorski, S. R., Rogers, K. J. An enzymic fluorometric micro method for determination of glycogen. Analytical Biochemistry. 49 (2), 492-497 (1972).
  15. Wang, Z., et al. Molecular structural features of glycogen in the kidneys of diabetic rats. Carbohydrate Polymers. 229, 115526 (2020).
  16. Wang, L., et al. Molecular structure of glycogen in Escherichia coli. Biomacromolecules. 20 (7), 2821-2829 (2019).
  17. Parker, G. J., Koay, A., Gilbert-Wilson, R., Waddington, L. J., Stapleton, 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does not associate with glycogen alpha-particles from rat liver.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62, 811-815 (2007).
  18. Ryu, J. -. H., et al. Comparative structural analyses of purified glycogen particles from rat liver, human skeletal muscle and commercial prepar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45 (5), 478-482 (2009).
  19. Sullivan, M. A., et al. Nature of alpha and beta particles in glycogen using molecular size distributions. Biomacromolecules. 11 (4), 1094-1100 (2010).
  20. Tan, X., et al. A new non-degradative method to purify glycogen. Carbohydrate Polymers. 147 (1), 165-170 (2016).
  21. Wang, Z., Liu, Q., Wang, L., Gilbert, R. G., Sullivan, M. A. Optimization of liver glycogen extraction when considering molecular fine structure. Carbohydrate Polymers. 261, 117887 (2020).
  22. Zhao, Y., Tan, X., Wu, G., Gilbert, R. G. Using molecular fine structure to identify optimal methods of extracting starch. Starch – Starke. 72, 1900214 (2020).
  23. Shokri-Afra, H., Ostovar-Ravari, A., Rasouli, M. Improvement of the classical assay method for liver glycogen fractions: ASG is the main and metabolic active fraction. European Review for Medical and Pharmacological Sciences. 20, 4328-4336 (2016).
  24. Kerly, M. The solubility of glycogen. The Biochemical Journal. 24, 67-76 (1930).
  25. Sullivan, M. A., et al. Improving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for glycogen. Journal of Chromatography A. 1332 (1), 21-29 (2014).
  26. Sullivan, M. A., et al. Skeletal muscle glycogen chain length correlates with insolubility in mouse models of polyglucosan-associated neurodegenerative diseases. Cell Reports. 27 (5), 1334-1344 (2019).
  27. Orrell, S. A., Bueding, E. A comparison of products obtained by various procedures used for the extraction of glycogen.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39 (12), 4021-4026 (1964).
  28. Sullivan, M. A., et al. Molecular insights into glycogen alpha-particle formation. Biomacromolecules. 13 (11), 3805-3813 (2012).

Play Video

記事を引用
Wang, Z., Liu, Q., Wang, L., Gilbert, R. G., Sullivan, M. A. The Extraction of Liver Glycogen Molecules for Glycogen Structure Determination. J. Vis. Exp. (180), e63088, doi:10.3791/63088 (2022).

View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