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성인의 국소 마취하에 CO2-Lasertonsillotomy

Published: November 06, 2019
doi:

Summary

국소 마취하에 CO2-lasertonsillotomy는 성인의 편도선 관련 불만에 대한 전신 마취하에 편도선 절제술을위한 흥미로운 대체 치료 방법입니다. 이 보고는 현지 마취의 밑에 CO 2-lasertonsillotomy의 실행을 상세히 단계별 프로토콜을 제출합니다.

Abstract

편도선 관련 불만은 성인 인구 중 아주 일반적입니다. 전신 마취하에 편도선 절제술은 현재 그러한 불만에 대한 성인에서 가장 수행 된 외과 적 치료입니다. 불행히도 편도선 절제술은 높은 합병증 비율과 긴 회복 시간과 관련된 침습적 치료법입니다. 합병증과 긴 회복 시간은 주로 편도선의 혈관 및 조밀하게 내심 캡슐을 제거하는 데 관련이 있습니다. 최근, 국소 마취하에CO2-lasertonsillotomy는 상당히 짧고 덜 고통스러운 회복 기간을 가진 편도선 관련 질병에 대한 실행 가능한 대체 치료법으로 입증되었습니다. CO 2-lasertonsillotomy의 온화한 부작용 단면도는 편도선 캡슐을 그대로 두는 관련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보고서의 목적은 국소 마취하에 CO 2-lasertonsillotomy의 실행을 자세히 설명하는 간결한 프로토콜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이 내정간섭은 1,000명 이상의 환자에서 저희 병원에서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안전하고 가파른 학습 곡선과 연관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Introduction

재발성 편도선 질환은 외래 진료소, 항균 치료 및 근무일1일을자주 방문하는 일반적인 건강 문제입니다. 편도선 절제술2는 현재 성인의 편도선 관련 불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외과 적 개입입니다. 편도선 절제술 동안 환자는 전신 마취하에 가져와 편도선 캡슐을 포함한 전체 편도선이 제거되고 출혈 부위의 응과가 뒤따릅니다. 이 내정간섭은 오히려 침략적이고 중요한 수술 후 이환및 긴, 전형적으로 고통스러운, 회복 기간3,4와연관됩니다. 편도선 절제술의 대안은 편도선 조직의 부분적인 캡슐 내 제거인 편도선 절제술입니다.

편도선 절제술과 편도선 절제술은 천년 동안 수행되었습니다 5,6. 소계 편도선 제거 날짜에 대한 첫 번째 설명은 BC 16로거슬러 올라간다. 그 때부터 편도선 제거를 위한 많은 기술이 개발된 것은 메스, microdebriders7,coblators8,전기 외과 가위9,다이오드 레이저10,무선 주파수 프로브11 및 CO의 사용을 포함하여 개발되었습니다 2-레이저12.

편도선 관련 불만의 처리를 위한 국소 마취 (CO2LT)의 밑에 CO2-lasertonsillotomy는 고전적인 편도선 절제술을 위한 대안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상당히 새로운 외과 처리입니다. 최근 연구는 종래의 편도선 절제술12,13에비해 CO2LT 치료에 비해 더 짧고 덜 고통스러운 회복 기간을 보였지만 CO2LT 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환자 만족도가 유사하다. CO2LT 동안 편도선은 국소적으로 마취되고 림프 편도선 조직의 소엽만 제거됩니다. 혈관, 신경 및 림프관이 통과하는 편도선 캡슐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편도선 캡슐을 그대로 두면 수술 후 출혈이 감소하고 수술 후 통증이 감소하며 회복 시간이 짧아질 수 있습니다14.

편도선 캡슐을 그대로 두는 잠재적인 문제는 편도선 관련 불만의 불완전한 해결일 수 있으며, 그 결과환자의 하위 집합에서 이차 CO2LT(12)가 필요하다. 또한, CO2LT 치료 환자를 받을 자격이 있어야 치료 하는 동안 침착 하 게 유지 하 고 그들의 개그 반사 강도 치료 가능성을 제한 하지 않아야. 개그 반사는기도를보호하기 위한 생리적 반사(15)이며, 이는 입과 인두의 국소 마취에 의해 부분적으로만 무디어질 수 있다; 특히 강한 개그 반사는 CO2LT의 안전한 성능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반사의 중증도를 평가하기 위해 재갈 심각도 지수(GSI)를15로사용할 수 있다. GSI는 1 (매우 온화한)에서 5 (매우 심한)[표 1]에이르는 지수이며 원래 치과에서 재갈 반사의 강도와 치과 치료에 대한 결과를 분류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GSI 등급 3 이상 환자에서 재갈 반사는 먼저 CO2LT 절차가 성공할 확률을 높이기 위해 감소되어야한다. 우리는 환자가 그들의 양치질을 할 때마다 혀 베이스와 편도선 “칫솔질”하여 개그 반사를 퇴색시키는 것을 시도하도록 조언합니다. 우리는 이 운동이 대부분의 환자에 있는 개그 반사 강렬을 1-2 GSI 점에 의해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것을을 발견했습니다.

Protocol

1. 환자 선택 다음과 같은 편도선 관련 질병을 가진 환자의 포함을 고려하십시오 : 재발편선염; 큰 편도선에 의한 부전 실어증; 편도선 돌; 편도선과 관련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성인 환자만 포함하십시오. 알레르기, 특히 국소 마취제에 대한 검사를 하십시오. GSI를 사용하여 개그 반사 강도를 평가한다(표1). 적절한 CO2LT 치료를 위해서는 편도선의 완전한 시각화가 필요하며 환자는 한 번에 적어도 15s동안 숨을 쉴 수 있어야 합니다. GSI > 2를 가진 환자에서 개그 반사 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운동을 고려한다. 개그 반사가 (부분적으로) 훈련에 의해 퇴색 될 수 있음을 환자에게 알립니다. 환자에게 처음 며칠에서 몇 주 까지는 운동이 불편할 것이라고 설명한다. 환자에게 칫솔을 사용하여 치아를 닦을 때마다 혀 베이스와 편도선(가급적이면 하루에 두 번)을 부드럽게 만지거나 칫솔질하도록 권고하십시오. 이 절차를 매일 순차적으로 수행 할 때 환자에게 압력을 높이라고 지시하십시오. 다음 환자를 제외하십시오 : 프리드먼 등급 IV (키스) 편도선; 치료 응고 장애; 항응고제의 어떤 형태를 사용하여; 활성 편도선 감염 / 복월성 농양; 임신 한 여성; 편도선 검사 중 비협조적인 사람. 2. 사전 동의 및 사전 교육 방문 다음을 포함하여 서면 동의를 얻으십시오. 환자에게 다음과 같이 내정간섭을 설명한다: “편도선(들)은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증발될 것이다. 국소 마취는 조직을 마비하는 데 사용되므로 치료 중에 완전히 깨어 있고 정신적으로 존재할 것입니다. 치료 중 통증이 예상되지 않으며 치료 후 첫 날에 낮은 통증에서 중간 정도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편도선 당 약 10-15 분이 소요됩니다.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으면 치료 후 바닥에 입원할 필요가 없으며, 운전할 수 있는 친구 나 친척과 함께 치료 후 30 분에서 1 시간 안에 병원을 떠날 수 있습니다.” 대체 치료 옵션 설명 (해당되는 경우 : 기대 관리, 기존의 편도선 절제술 또는 항생제). CO2LT의 가능한 합병증을 설명: 당- 및 수술 후 출혈, 감염, 편도선 질환의 불완전한 해결; 두 번째 편도선 절제술 또는 편도선 절제술, 통증, 마취제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일시적인 맛 변화, 주변 구조물에 대한 (일시적인) 손상이 필요합니다. 치료 당일에 무거운 식사를 하지 말라고 환자에게 지시하십시오. 아세트아미노펜이 특정 환자에서 금기사항이 아닌 경우 치료 30분 전에 1,000 mg 의 아세트아미노펜(paracetamol)을 복용하도록 환자에게 지시하십시오(활성 간 질환 및 간 부전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음). 검사 중 번거로운 개그 반사 환자에게 칫솔으로 혀 베이스와 편도선에 적어도 하루에 두 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주 동안 개그 반사를 줄이도록 요청하십시오. 3. 환자 및 장비의 준비 CO2-레이저기계에 레이저 펜을 부착합니다. 올바른 설정이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그림 1)같은 (i) 연속 레이저 빔, (ii) 편도조의 크기에 따라 15-30W 강도; 일반적으로, 18W에서 시작하여 편도선및 환자의 협조의 크기에 따라 최대 30W의 전력을 증가시키고, (iii) 편도선(나머지)의 크기에 따라 2-4 mm의 형상 크기, (iv) 모양: 원형. 외과 의사, 외과 기술자 및 환자가 레이저 안전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외과 의사와 외과 기술자가 적절한 보호 수술 용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외과 의사의 헤드 라이트가 작동하는지 확인하십시오. 환자 모니터링을 위한 펄스 산소 측정기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나무 혀 우울자가 도달 할 수 있는지 확인하십시오.주의 사항: 레이저 빔을 반사할 수 있기 때문에 금속 압우울기는 사용하지 마십시오. 4. 시간 제 수속 환자에게 이름과 생년월일을 물어보십시오. 환자에게 일어날 개입을 요청하십시오. 환자에게 치료의 측면을 물어보십시오. 특히 국소 마취제 및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가 환자에게 요청하십시오. 모든 장비가 있는 경우 외과 기술자에게 확인하십시오. 수술실의 레이저 표시등이 켜져 있고 모든 창문이 레이저 안전을 위해 덮여 있는지 확인합니다. 5. 수술 전 환자 지침 환자에게 깊이 흡입한 다음 치료 중에 천천히 숨을 내쉬도록 하십시오. 환자에게 그 /그녀가 통제하고 언제든지 신호를 보낼 수 있다는 것을 환자에게 설명하십시오, 이는 레이저 처리의 일시 정지로 이끌어 낼 것입니다. 외과 의사의 다리를 눌러 치료를 일시 중지하려는 경우 신호를 그 / 그녀의 손을 사용하여 환자를 지시. 환자에게 치료 중에 포부와 후두 경련을 예방하기 위해 액체를 삼키지 않도록 지시하십시오. 필요한 경우 액체를 침에 환자에게 신장 분지를 제공합니다. 인두 부위의 국소 마취로 인해 기도가 막힌 것처럼 느껴지면 당황하지 않도록 환자를 안심시하십시오. 치료가 언제든지 일시 중지 될 수 있음을 환자에게 다시 상기시킵니다. 6. 환자 위치 지정 및 편도선 검사 환자의 검지 손가락에 맥박 산소 측정기의 배치하고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의자 / 테이블 컨트롤을 사용하여 환자를 똑바로 세워 놓습니다. 외과 의사가 레이저 치료를 수행하는 동안 편안하게 서 있을 수 있도록 의자 /테이블의 높이를 설정합니다. 환자에게 편안하고 안전한 위치를 보장하기 위해 좌석을 조정하도록 요청하십시오. 편도선 모두를 검사하고 활성 염증을 배제하십시오. GSI를 사용하여 개그 반사를 평가하고 레이저 치료의 타당성을 판단한다. 적절한 CO2LT 치료를 위해 외과 의사는 편도선과 환자가 적어도 15 s동안 숨을 쉴 수 있어야 합니다. 7. 편도선 침전 편도선이 한 번에 하나씩 마취 될 것이라고 환자에게 말하십시오. 중요한 개그 반사 (GSI 등급 2-3)의 경우 개그 반사를 줄이기 위해 혀 베이스와 인두의 실로카인 스프레이 또는 피상적 인 마취를 사용합니다. 국소 마취제앰프를 가지고 서서히 상부 극에 ~ 0.2 mL, 중간 극에 ~ 0.2 mL, 편도선 하부 극에 ~ 0.2 mL를 주입합니다.참고: 선택적으로 편도선 기둥도 침투 할 수 있습니다. 편도선이 기둥 뒤에 숨겨져 있거나 개그 반사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환자에게 국소 마취제를 삼키지 말고 뱉어 내라고 지시하십시오. 인후 압박감이 마취로 인한 것이라는 것을 환자에게 안심시켜주십시오. 실제 장애물로 인한 것이 아닙니다. 8. 편도선 레이저 처리 환자에게 깊게 숨을 들이쉬고 천천히 숨을 내쉬도록 한다. 외과 기술자가 외과 의사의 시야를 막지 않고 입의 개구부 가까이에서 연기 흡입을 잡도록하십시오. 두 개의 나무 혀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혀 / 혀 베이스를 누르고 편도선에 노출하십시오. 환자의 호기 중에 소엽의 림프 조직을 레이저로 쓸어 넘긴 운동으로 레이저로 움직입니다. 환자가 (외과 의사의) 다리를 탭 할 때 중지합니다. 환자가 다시 숨을 들이쉬고 완전한 암호 해독이 완료 될 때까지 8.1-8.4 단계를 반복하십시오. 필요한 경우, 추가 국소 마취제를 주입하십시오 (피네프린 유무에 관계없이). 9. 레이저 치료를위한 팁 수술 출혈의 경우 : “초점 에서”출혈하는 반점을 레이저로. 이것은 응고와 유사한 효과를 가진 지각 형성을 가진 림프 조직의 연소로 이어질 것입니다 (레이저를 사용할 때 증발과 반대합니다’초점). 대안적으로, 출혈을 멈추기 위해 (양극성) 응고 장치를 사용한다. 나무 혀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전방 편도선 기둥을 눌러 편도선에 더 노출시면 됩니다. 나무 혀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편도선 기둥의 상부를 눌러 편도선의 상부 소엽을 노출시하십시오. 나무 혀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낮은 편도선 소엽을 떠서 레이저 치료를 위해 노출하십시오 (하나는 혀 블레이드에 떠서 남길 수 있습니다). 10. 치료 후 지침 환자에게 수술 후 관찰의 최소 30 분 동안 아이스캔디를 제공합니다. 국소 마취제가 포부를 방지하기 위해 마모 될 때까지 2 시간 동안 다른 것을 마시거나 먹지 말라고 환자에게 지시하십시오. 수술 후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 일주일 동안 뜨거운 음료 / 음식 이나 딱딱한 껍질로 음식을 마시거나 먹지 않도록 환자에게 지시하십시오. 필요한 경우에만 환자에게 진통제를 복용하라고 말하십시오.참고: 필요한 경우 하루에 4번 최대 1,000 mg의 아세트아미노펜(파라세타몰)을 드시면 됩니다. 환자에게 일주일 동안 격렬한 운동을 삼가라고 말하십시오. 수술 후 출혈이 발생할 경우 환자에게 가장 가까운 응급실로 가라고 조언하십시오. 수술 후 감염 (예 : 발열)의 경우 환자에게 이비인후과에 연락하도록 조언하십시오.

Representative Results

1 년 후속을 가진 107명의 환자에 있는 이전에 간행된 예비 연구 결과에서는, 수술 후 설문지는 전통적인 편도선 절제술에 비교된 CO2LT를 위한 편도선 관련 현상의 회복 속도 그리고 재발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용되었습니다12. 46명의 환자는 전신 마취하에 기존의 편도선 절제술을 받았고 61명의 환자는 CO2LT를 시행했습니다. 총, CO2LT 그룹에 있는 환자의 72.5%는 그들의 편도선 관련 현상에서 치료되었습니다. 3명의 환자 (7.5%) CO2LT 그룹에서 는 재발하는 편도선 불만에 대한 개정 수술이 필요했습니다. 편도선 절제술 그룹에서는 환자의 97.2 %가 초기 치료 후 치료되었습니다. 전반적인 만족도는 두 치료 군 모두에서 유사했지만, 수술 후 평균 통증 강도 점수는 5.4(10점 만점, 범위 0-9)였으며 편도선 절제술 후 7.7(10명 중, 범위 2-10)은 편도선 절제술 후 더 이상 (9.9 대 5.4) 사용으로 이어졌습니다. 편도선 절제술 후 더 강한 진통제 (비 스테로이드 성 소염 진통제 / 아세트 아미노 펜 대 오피오이드)의 사용. 전체 회복일 및 수술 후 출혈 이벤트의 수는 편도선 절제술 그룹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그림 2). 그림 1: 레이저 설정 의 사진. 사용되는 레이저 시스템의 CO2LT에 대한 표준 레이저 설정.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그림 2: 환자는 편도선 절제술 과 편도선 절제술 후 회복을보고했다. 편도술 (TO) 및 편도선 절제술 (TE) 후에 수술 후 완전한 회복을보고 한 환자의 누적 비율. 데이터는 이전에 Lourijssen 외12에의해 출판되었다 .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디킨슨과 피스케 반사 등급의 정의 및 특성 재갈 심각도 인덱스 성적 1학년 매우 온화한, 가끔 환자에 의해 제어. 2학년 적당한, 통제는 환자에 의해 요구됩니다 치과 팀의 안심과 함께. 3학년 중간, 일관된 및 제한 치료 옵션. 4학년 심한 치료는 불가능합니다. 5학년 매우 심한, 환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치과 출석 및 치료가 불가능합니다. 표 1: 재갈 심각도 지수 (GSI) 점수15.

Discussion

이 백서에서는 CO2LT를 수행하는 단계를 설명합니다. 우리의 지식에, 이것은 이러한 세부 사항에이 개입을 설명하는 첫 번째 기사입니다. 국소 마취하에 외래 환자 CO2LT는 새로운 외과 적 방법이므로 제시 된 절차 세부 사항은 주로 저자의 실습 경험을 통해 개발되었습니다.

외과 적 개입에 관해서는 수술 전 환자 선택이 중요합니다. CO2LT의 경우, 절차 제한 개그 반사없이 상대적으로 조용하고 협조적인 환자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절차 및 개그 반사에 관련된 환자 불안으로 인한 제한의 적절한 평가는 일관된 치료 효과에 도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우리는 레이저 빔으로 주변 조직을 손상시킬 위험이 있기 때문에 등급 IV (프리드먼 채점) 또는 “키스 편도선”을 가진 환자에서 CO2LT를 수행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의 경험에서, 편도캡슐을 그대로 두고 조직 손상을 제한하는 것은 전신 마취하에 편도선 절제술에 비해 수술 후 통증, 회복 시간 및 수술 후 이환율을 감소시킵니다. 이것은 현재 문학16,17,18,19,20,21,22,23,24와 일치합니다. ,25,26. CO2LT를 가진 편도선 질병의 잠재적인 불완전한 해결책에도 불구하고, 많은 환자는 그들의 선택권의 통보될 때 편도선 절제술을 통해 CO2LT를 선호합니다. 이러한 선호도는 지속적으로 (수술 전) 및 소급(후속 조치)으로 보고되고있다(12). 따라서 우리는 CO2LT가 의사와 환자의 관점에서 편도선 관련 질병에 대한 치료 옵션의 격차를 채운다고 믿습니다. 현재 진행중인 연구는 편도선 질환을 가진 성인에서 CO2LT의 가치에 대한 추가 통찰력을 제공해야합니다13.

톤틸토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과 장치가 있으며, 각 기종은 자체적인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절제 프로브, 간질 열 요법 기기 및 다이오드 레이저. 성인27에서편조 절제술을 위해 다른 악기를 선호하는 결정적인 증거는 없습니다. 마이크로데브라이더, 코블러터및 CO 2-레이저는 편성기절제술 28에가장 자주 사용되는 기기 중 하나입니다. 효과, 통증 및 수술 후 합병증에 대한 보고서는 다양하지만, 현재의 증거는 수술 후 통증과 합병증이 적은 편도선 절제술에 비해 편도선 절제술의 동등한 효능을 시사27,28,독립적 편도제 절제술의 방법.

국소 마취하에 편도선 수술이 수십 년 부터 설명되었지만, 현재의례16,29,30,31에서자주 수행되지 않는다. 많은 이비인후과 전문의는 국소 마취하에 편도선 수술의 아이디어에 불편합니다. 이는 부분적으로 편도선 수술의 이러한 특정 형태에 대한 경험의 부족뿐만 아니라 기도 및 출혈 조절에 대한 우려로 인한 것일 수있다(30).

CO2LT에는 몇 가지 분명한 물류 이점이 있습니다. 첫째, 국소 마취제만 사용하면 마취 팀의 필요성이 해소됩니다. 둘째, 수술은 외래 환자 설정에서 수행 될 수 있으며 수술실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셋째, CO2LT와 함께 사용되는 수술 기구는 일회용이 아닌 경우 사용 후 레이저 펜만 살균해야 합니다. 레이저 펜의 멸균은 중앙 멸균 서비스 부서를 위한 간단한 절차입니다. 이러한 요소는 모두 비용 절감으로 이어집니다. 한편, 레이저의 사용은 현지 레이저 안전 표준을 충족하는 전문적인 개입 실이 필요하다.

우리는 현재 재발하는 복분선 농양 (14%)32의환자에서 본질적인 위험 때문에 복리후생 농양의 역사를 가진 환자를 제외합니다. 재발의 리스크는 편도선 절제술33후에 환자에 있는 0입니다. 편도절제술에서 잔류 조직은 농양의 재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우리는 또한 CO2LT를 가진 처리에서 항응고제 또는 출혈 무질서에 환자를 제외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의 경험은 출혈 부위가 CO2-레이저로 쉽게 관리 될 수 있지만, 또는 필요한 경우 양극성 응고로 관리 할 수 있습니다. 환자가 의식이 있고 삽관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응고 감소로 인한 더 심오한 출혈의 수술 적 치료를 복잡하게 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환자는 완전한 마취하에 가져올 수 있으며 출혈 부위는 편도선 절제술 후 수술 후 출혈과 유사하게 완충제 또는 결찰로 중단 될 수 있습니다. 우리의 >1,000 환자 경험에서, 그런 사건은 결코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케이스의 약 2%가 될 국소 마취의 밑에 양극성 응고를 사용하는 필요를 추정합니다.

게다가, 아직 우리는 비협조적인 환자 때문에 CO2LT 케이스를 일찌기 중단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덧붙여, 강한 개그 반사는 편도선의 하부의 최적이 아닌 레이저 처리로 이끌어 냈습니다. 이러한 경우, 우리의 개그 반사 훈련 계획으로 환자를 집으로 보내는 것은 후속 CO2LT 절차 동안 나머지 편도선 조직의 성공적인 치료로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숫자와 절차적 특성은 단일 센터에서 저자의 개인적인 경험을 기반으로하고 추가 연구에서 평가되어야한다는 것을 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Divulgacione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없음.

Materials

Carpule syringe and local anesthetic (eg xylocaïne:adrenaline 1:80.000) n/a n/a n/a
CO2 Laser system Lumenis AcuPulse DUO CO2 laser F125  CO2 Laser System
Coagulation device  Erbe Erbe ICC 80 Surgical Generator With Footswitch n/a
Laser safety goggles Lumenis Laservision goggles AX0000068  n/a
Operating chair n/a n/a With possibilities for the patient to sit upright (eg opthalmic chair or dental chair)
Operating room which meets the local laser-safety standards n/a n/a n/a
Suction device TBH TBH LN 100 or 2000 Air suction and filtration device
Surgical masks 3M 3M 7502 mask with 2138 P3 filters n/a
wooden tongue depressor n/a n/a Do not use metal tongue depressors

Referencias

  1. Koskenkorva, T., Koivunen, P., Alho, O. -. P. Predictive Factors for Medical Consultation for Sore Throat in Adults with Recurrent Pharyngotonsillitis. International Journal of Otolaryngology. 2016, 6095689 (2016).
  2. Cullen, K. A., Hall, M. J., Golosinskiy, A. Ambulatory surgery in the United States, 2006. National Health Statistics Reports. (11), 1-25 (2009).
  3. Bhattacharyya, N., Kepnes, L. J. Revisits and postoperative hemorrhage after adult tonsillectomy. The Laryngoscope. 124 (7), 1554-1556 (2014).
  4. Salonen, A., Kokki, H., Nuutinen, J. Recovery After Tonsillectomy in Adults: A Three-Week Follow-up Study. The Laryngoscope. 112 (1), 94-98 (2002).
  5. Younis, R. T., Lazar, R. H. History and current practice of tonsillectomy. The Laryngoscope. 112 (8), 3-5 (2002).
  6. Koempel, J. A., Solares, C. A., Koltai, P. J. The evolution of tonsil surgery and rethinking the surgical approach to obstructive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children. The Journal of Laryngology and Otology. 120 (12), 993-1000 (2006).
  7. Koltai, P. J., Solares, C. A., Mascha, E. J., Xu, M. Intracapsular partial tonsillectomy for tonsillar hypertrophy in children. The Laryngoscope. 112 (8), 17-19 (2002).
  8. Arya, A., Donne, A. J., Nigam,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study of coblation tonsillotomy versus coblation tonsillectomy on postoperative pain. Clinical Otolaryngology and Allied Sciences. 28 (6), 503-506 (2003).
  9. Isaacson, G., Szeremeta, W. Pediatric tonsillectomy with bipolar electrosurgical scissors. American Journal of Otolaryngology. 19 (5), 291-295 (1998).
  10. D’Eredità, R., Marsh, R. R. Contact diode laser tonsillectomy in children.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Official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31 (5), 732-735 (2004).
  11. Hegazy, H. M., Albirmawy, O. A., Kaka, A. H., Behiry, A. S. Pilot comparison between potassium titanyl phosphate laser and bipolar radiofrequency in paediatric tonsillectomy. The Journal of Laryngology and Otology. 122 (4), 369-373 (2008).
  12. Lourijsen, E. S., Wong Chung, J. E. R. E., Koopman, J. P., Blom, H. M. Post-operative morbidity and 1-year outcomes in CO2-laser tonsillotomy versus dissection tonsillectomy. Acta Oto-Laryngologica. 136 (10), 983-990 (2016).
  13. Hultcrantz, E., Ericsson, E. Pediatric tonsillotomy with the radiofrequency technique: less morbidity and pain. The Laryngoscope. 114 (5), 871-877 (2004).
  14. Dickinson, C. M., Fiske, J. A review of gagging problems in dentistry: I. Aetiology and classification. Dental Update. 32 (1), 26-32 (2005).
  15. Krespi, Y. P., Ling, E. H. Laser-assisted serial tonsillectomy. The Journal of otolaryngology. 23 (5), 325-327 (1994).
  16. Unkel, C., Lehnerdt, G., Schmitz, K. J., Jahnke, K. Laser-tonsillotomy for treatment of obstructive tonsillar hyperplasia in early childhood: a retrospectiv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69 (12), 1615-1620 (2005).
  17. Papaspyrou, G., Linxweiler, M., Knöbber, D., Schick, B., Al Kadah, B. Laser CO2 tonsillotomy versus argon plasma coagulation (APC) tonsillotomy: A retrospective study with 10-year follow-up.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92, 56-60 (2017).
  18. Linder, A., Markström, A., Hultcrantz, E. Using the carbon dioxide laser for tonsillotomy in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50 (1), 31-36 (1999).
  19. Baharudin, A., Shahid, H., Rhendra, M. Z. Laser tonsillotomy in children with tonsillar hyperplasia. The Medical journal of Malaysia. 61 (3), 377-379 (2006).
  20. Linder, A., Markström, A., Hultcrantz, E. Using the carbon dioxide laser for tonsillotomy in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50 (1), 31-36 (1999).
  21. Magdy, E. A., Elwany, S., El-Daly, A. S., Abdel-Hadi, M., Morshedy, M. A. Coblation tonsillectomy: a prospective, double-blind, randomised,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comparison with dissection-ligation, monopolar electrocautery and laser tonsillectomies. J Laryngol Otol. , (2008).
  22. Densert, O., Desai, H., Eliasson, A., Frederiksen, L., Andersson, D., Olaison, J., Widmark, C. Olaison Tonsillotomy in Children with Tonsillar Hypertrophy. Acta Oto-Laryngologica. 121 (7), 854-858 (2001).
  23. Krespi, Y. P., Kizhner, V. Laser tonsil cryptolysis: In-office 500 cases review. American Journal of Otolaryngology. 34 (5), 420-424 (2013).
  24. Stelter, K., de la Chaux, R., Patscheider, M., Olzowy, B. Double-blind, randomised, controlled study of post-operative pain in children undergoing radiofrequency tonsillotomy versus laser tonsillotomy. The Journal of Laryngology & Otology. 124 (8), 880-885 (2010).
  25. Hultcrantz, E., Linder, A., Markström, A. Tonsillectomy or tonsillotomy?–A randomized study comparing postoperative pain and long-term eff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51 (3), 171-176 (1999).
  26. Wong Chung, J. E. R. E., van Benthem, P. P. G., Blom, H. M. Tonsillotomy versus tonsillectomy in adults suffering from tonsil-related afflictions: a systematic review. Acta Oto-Laryngologica. 138 (5), 492-501 (2018).
  27. Windfuhr, J. P., Savva, K., Dahm, J. D., Werner, J. A. Tonsillotomy: facts and fiction. European archives of oto-rhino-laryngology: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Federation of Oto-Rhino-Laryngological Societies (EUFOS): affiliated with the German Society for Oto-Rhin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272 (4), 949-969 (2015).
  28. Schoem, S. R., Watkins, G. L., Kuhn, J. J., Alburger, J. F., Kim, K. Z., Thompson, D. H. Control of Early Postoperative Pain With Bupivacaine in Adult Local Tonsillectomy. Archives of Ot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119 (3), 292-293 (1993).
  29. Bredenkamp, J. K., Abemayor, E., Wackym, P. A., Ward, P. H. Tonsillectomy under local anesthesia: A safe and effective alternative. American Journal of Otolaryngology. 11 (1), 18-22 (1990).
  30. Pekkarinen, H., Kärjä, J. Results of long-term ECG monitoring in patients submitting to tonsillectomy under local anaesthesia. The Journal of Laryngology and Otology. 96 (8), 725-730 (1982).
  31. Chung, J. H., Lee, Y. C., Shin, S. Y., Eun, Y. G. Risk factors for recurrence of peritonsillar abscess. The Journal of Laryngology and Otology. 128 (12), 1084-1088 (2014).
  32. Kronenberg, J., Wolf, M., Leventon, G. Peritonsillar abscess: recurrence rate and the indication for tonsillectomy. American Journal of Otolaryngology. 8 (2), 82-84 (1987).

Play Video

Citar este artículo
Wong Chung, J. E., van Helmond, N., van Geet, R., van Benthem, P. P. G., Blom, H. M. CO2-Lasertonsillotomy Under Local Anesthesia in Adults. J. Vis. Exp. (153), e59702, doi:10.3791/59702 (2019).

View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