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향상된 전자 전도성 특성을 가진 철 - 도핑 된 알루미 노 실리케이트 나노 튜브의 합성 및 특성

Published: November 15, 2016
doi:

Summary

여기서는 합성 및 Fe 도핑 알루미 나노 튜브의 특성을 프로토콜을 제시한다. 재료는 Si 및 알루미늄 전구체를 포함하는 혼합물 • 6H 2 O의 FeCl3의 첨가시 또는 예비 성형 알루미 나노 튜브의 합성 후 이온 교환에 의해 어느 졸겔 합성에 의해 얻어진다.

Abstract

프로토콜의 목적은 화학식 (OH) 32-X의 Fe의 X O 3 SiOH와 함께 imogolite 형의 Fe 도핑 알루미 나노 튜브를 합성 할 수있다. 철 도핑하면 및 아조 염료, 폐수 및 지하수의 유기 오염 물질의 중요한 클래스 향해 흡착 특성을 수정에 imogolite의 밴드 갭, 화학식 (OH) 32 O 3 SiOH와의 절연막을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

철 – 도핑 된 나노 튜브는 두 가지 방법으로 획득된다 :의 FeCl3는 SI와 Al 전구체의 수성 혼합물에 첨가하고, 미리 형성된 나노 튜브는 50ml을 • 6H 접촉 넣어 합성 후 로딩하는 것이다 직접 합성에 의해 2 O 수용액. 철 3+ 모두에 의해 합성 방법의 Al, 동형 치환 3+에서 나노 튜브 구조체를 유지하면서 발생한다. 동형 치환은 참으로 질량 분율로 제한됩니다중 ~ 1.0 %의 Fe,보다 높은 Fe 함유량에서 사람 (즉, 1.4 %의 Fe의 질량 분율) 로딩 절차 채용 철 특히 2 O 3 클러스터를 형성한다. 물질의 물리 화학적 특성은 X 선 분말 회절 (XRD), -196 ° C, 고분해능 투과 전자 현미경 (HRTEM) 확산 반사율 (DR) UV-비스 분광법에서 N 2 흡착 등온선과 의해 다룬다 ζ 전위 측정. 가장 중요한 결과는 나노 튜브를 형성하는 동안 발생하는 섬세 가수 평형을 교란하지 않고 예비 성형 imogolite에 합성 후 로딩하여 (나노 튜브의 외측 표면 상에 위치) 알 3+ 이온을 대체 할 수있는 가능성이다. 로딩 과정 동안, 음이온 교환기가 발생 나노 튜브의 외면에 알 3+ 이온의 Fe 3+ 이온으로 치환되는 경우. 철 도핑 된 알루미 노 실리케이트 나노 튜브, 알의 동형 치환 3+ 철 내가 3+에 의해도핑 imogolite의 밴드 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 s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노 튜브의 외측 표면의 Fe 3+ 사이트 수용액에서 발생 리간드 변위 메커니즘을 통해, 아조 염료 애시드 오렌지 (7)와 같은 유기 부분을 조정할 수있다.

Introduction

용어 나노 튜브 (NT)는 보편적으로 카본 나노 튜브 (1), 대부분의 연구 된 화학 개체 오늘 하나와 연관된다. 덜 공지 된 알루미 NTS도 (주로 화산 토양) 자연에 존재 이외에, 2,3-를 합성 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외면과 비에 알 (OH) 알와 Al-O-Al 계기로 단층 NT로 발생하는 2 O 3 SiOH와 4,5- Imogolite (IMO)의 화학식을 가진 수화 된 알루미 노 실리케이트 (OH) 3 알, 내부 일 6에 상호 작용하는 실란 올 (SiOH와). 형상에 관하여, 길이가 수백 나노 미터 3,5,7에 몇 나노 미터마다 다릅니다. 외경 100 ℃에서 synthetized 샘플 2.5-2.7 nm의 증가 천연 IMO 2.0 nm의 ~ 반면 내경은 1.0 내지 5의 정수이다. 25 ° C에서 합성 천연 IMO 대신 8에 가까운 외부 직경이 국세청을 산출한다. 최근에는 도시되었음을 디와 NTSfferent 외경도 9의 합성시 사용되는 산을 변경함으로써 얻어 질 수있다. 건조 분말에서, IMO 국세청은 거의 육각형 포장 (그림 1)과 함께 번들로 조립한다. 국세청의 이러한 배열은 기공 10, 11 및 관련 표면 (12) 세 종류를 일으킨다. 적절한 내 튜브 A는 구멍 (직경 1.0 ㎚), 작은 B 기공 (0.3-0.4 nm의 폭) 마지막으로, 더 큰 C 모공이 번들 중 슬릿 기공 (그림 1로 발생, 번들 내에서 세 정렬 국세청 사이에 발생하고, 또한 ). 두 화학 성분 및 기공 크기는 물질의 흡착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기공의 표면들이 SiOH와 늘어서으로 매우 소수성이고, H 2 O, NH 3, CO (12)와 같은 증기 및 가스와 상호 작용할 수있다. 그들이 작기 때문에, B 모공은 C 모공이 페놀과 같은 큰 분자와 상호 작용하는 반면, 심지어 물 10, 11 같은 작은 분자, 거의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s> 6 1,3,5- 트리 에틸 (12)입니다. 아마라 등은. 최근에 밀접하게 포장 번들로 구성 국세청의 hexagonalization이 (imogolite 아날로그) aluminogermate NTS (13)에서 발생 보여 주었다. 이 현상은, 지금까지 알루미 노 실리케이트 국세청과 관찰되지 않지만,뿐만 아니라 B ​​모공의 접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IMO 관련 화학 물질에 대한 관심이 부분적으로 내부 및 국세청의 외면 모두의 조성을 변화의 가능성, 최근 증가하고있다. 탈수 산화가 결과적 NT 붕괴와 300 ° C 6,14-16 이상 발생 이후 수산기의 과다의 존재는, IMO 열 분해에 매우 민감 렌더링합니다.

내면은 식 (OH) 32 단일 또는 이중벽 18 NTS 하나의 형성을 야기 게르마늄 원자 17와 Si 원자의 치환을 포함한 여러 방법에 의해 변형 될 수있다 </suB> O 3시 1-X19 OH X. 유기 작용기 합성 후 래프팅은 R이 유기 라디칼 인 화학식 20 (OH) 32 O 3 SIO-R과 NTS의 형성을 이끈다. 식 (OH) 32 O 3의 Si-R (R = -CH 3 라디칼 유기 직접 Si 원자에 연결된 하나 형성 하이브리드 NTS 폼을 포함하는 실리콘 전구체의 존재 하에서 하나의 냄비 합성 – 스루 (CH 2) 3 -NH 2) 21, 22.

외부 표면의 변형 imogolite / 폴리머 복합 재료 (23)의 제조를위한 최선의 관심의 정전 상호 작용 또는 공유 결합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전자의 방법은 NTS의 외면과 적당한 반대 – 이온 (예 octadecylphosphonate) (24, 25) 사이의 전하 정합에 기초한다; 후자의 방법은 미리 형성된 사이의 반응을 의미IMO 국세청 및 유기 실란 (예를 들어, 3 aminopropylsilane) 26.

물, IMO 및 이온 사이의 정전 기적 상호 작용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평형 (27)로 가능하다

등 (OH) 알 + H + = 알루미늄 (OH 2) + 등 (1)

SiOH와 그런가 = + H + (2)

오염 된 물 28-32에서 음이온 / 양이온 유지에 테스트 한 충전 표면에 선도.

본 연구 우려 아직 외면의 다른 변형 (즉, 팔면체 (동형의 교체) 알 3+의 Fe 3+와 알 이하 3+ / 철 3+ 그대로 함). 이하는 IMO 국세청에 IS 알 3+ / 철 3+에 대해 알려진 반면,이 현상은, 미네랄이 실제로 일반적이다.

도핑 직결 창간호 철 t의 총량은모자는 심각한 구조적 변형을 유발하지 않고 국세청에 의해 호스팅 할 수 있습니다. 철 도핑 IMO에 선구적인 실험 작업은 국세청이 철 질량 분율보다 높은 1.4 % (33)에 형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속 이론적 인 계산은 철 중 하나를 동일 구조로 알을 대체 또는 "불량 사이트"(34)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함 (즉,이 철 옥소 수산화물 클러스터)는 2.0-1.4 eV의 34 4.7 eV의 IMO에서의 밴드 갭 (전기 절연체) (34,35)를 감소되어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최근의 Fe 3+의 존재가 2.4-2.8 eV의 36 IMO의 밴드 갭 (E의 g = 4.9 eV의)를 낮추고, 새로운 화학 물질과 고체 특성을 가진 고체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MO와 등 구조적 철 도핑 된 알루미늄 – 게르마늄 국세청에 최근 보고서는 실제 알 3+ / 철 3+ 철 옥소 수산화물의 형성 이후, 1.0 % 철의 질량 분율로 제한되어 있음을 보여 주었다인해 철의 자연적인 경향에 불가피하게 더 높은 Fe 함유량 발생 입자 응집물 (37)을 형성한다. 유사한 결과가 철 도핑 IMO 국세청 33,36,38-40 수득 하였다.

과학적인 관점에서, 철 및 철 도핑 IMO에서의 가능한 반응성 흡착 특성의 상태를 판정 여러 특성의 기술을 필요로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이 작품에서 우리는 철 도핑 IMO의 합성 및 특성을보고합니다. 두 샘플을 직접 합성 (철 – X-IMO) 또는 합성 후로드 (철-L-IMO) 중 1.4 % 철의 질량 분율로 합성 하였다; 낮은 철 함량 (0.70 %의 질량 분율에 대응)와 제 샘플 클러스터 형성을 피하기 위해 주로 알 3+ / 철 3+가 발생하는 물질을 얻기 위해 직접 합성을 통해 수득 하였다. 이 경우, 화학식 (OH) 3와 NTS의 형성 </sub> 알 1.9750.025 O 3 SiOH와이 예상된다. 세 철 – 도핑의 형태 학적 및 조직 특성은 IMO IMO 적절한의 것과 비교된다. 또한, 표면 특성은 철 (OH) 알 그룹이 ζ 전위와 아조 염료의 (부피) 음이온 산 오렌지 7 (NaAO7), 아조 염료의 모델 분자와의 상호 작용을 측정하여 물에서 공부하는 관련 폐수 지하수 (41) 모두의 오염 물질의 중요한 클래스있는 AO7 -. 구조 및 분자량 측정은 UV-비스 스펙트럼과 함께,도 2a에보고된다 (도 2B)를 0.67 mM의 수용액 (자연을 pH 6.8) . 그것의 분자 치수 (42), AO7는 종은 아마도 주로 IMO 내부 세공 내에서의 확산 유도 기생 작용을 제한 NTS의 외 측면과 상호 작용한다, 그래서 외면의 프로브 분자로서 사용될 수있다.

Protocol

IMO 국세청의 3g 1. 합성 건조한 장소에 천천히 실온 (RT)에서 이중 증류수 187.7 ml의 70 %의 질량 분율에 과염소산 1.3 mL를 첨가하여 80 mM의 HClO 4 용액을 제조 하였다. 연속 희석 (단계 1.6)에 대한 도움이 될 것입니다 2,000 비이커를 사용합니다. (알루미늄의 소스 ATSB) 43, 44 및 테트라 에틸 오르토 실리케이트 (98 %) (TEOS 3.8 ml의 건조 공간에서 작은 비커에 알루미늄 트리 ?…

Representative Results

IMO와의 합성에 관한 특히 직접 합성에 의한 철 – 도핑 동안 IMO 국세청, 가장 중요한 문제는 내가있다) 국세청의 형성을, 철을 도핑; ii) 상기 최종 물질에서의 Fe 화학 종의 실제 환경; 및 ⅲ) 물질의 물리 화학적 특성, 특히 밴드 갭 및 흡착 특성에 대한 철의 영향. NTS의 외면에서 철의 존재는 실제로 특히 수용액에서, 국세청 및 흡착 종 간의 상호 작용을 수정하는 것으로 예?…

Discussion

성공하기 위해보고 된 프로토콜 NTS 형성 엄격 합성 조건에 의존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따라야한다. 다음 단계는 매우 중요하다 : 단계 1.2 2.3 TEOS의 약간 과량는 SI / 알 화학 양론 비에 대해 사용되어야한다 (즉, TEOS : ATBS = 1.1 : 2). TEOS의 과잉은 깁 사이트의 우선 형성 (알 (OH) 3) 및 / 또는 마이트 (AIOOH) 단계 (46, 47)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중요한 점?…

Divulgacione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저자는 건조 공간을 대출에 대한 교수 클라우디오 Gerbaldi 및 Nerino Penazzi (니코 디 토리노)를 인정합니다.

Materials

Perchloric Acid (70%) puriss. p.a., ACS reagent, 70% (T) Sigma Aldrich (Fluka) 77230 Toxic. Use facesheild and respirator filter.
Aluminum-tri-sec-butoxide 97% Sigma Aldrich 201073 Skin and eye irritation. Use  eyesheild  and faceshield and respirator filter
Tetraethyl orthosilicate    (reagent grade 98%) Sigma Aldrich 131903 Toxic, Skin and eye irritation. Use  eye and face shields and respirator filter
Iron(III) chloride hexahydrate ACS reagent, 97% Sigma Aldrich 236489 Toxic and corrosive.  Use  eye and face shields and gloves.
Orange II Sodium salt for microscopy (Hist.), indicator (pH 11.0-13.0)  Sigma Aldrich    (Fluka) 75370 Skin and eye irritation. Use  gloves and dust mask.

Referencias

  1. Ajayan, P. M. Nanotubes from carbon. Chem. Rev. 99 (7), 1787-1800 (1999).
  2. Wada, S. I., Eto, A., Wada, K. Synthetic allophane and imogolite. J. Soil. Sci. 30 (2), 347-355 (1979).
  3. Farmer, V. C., Adams, M. J., Fraser, A. R., Palmieri, F. Synthetic imogolite: properties, synthesis and possible applications. Clay Miner. 18 (4), 459-472 (1983).
  4. Yoshinaga, N., Aomine, A. Imogolite in some ando soils. Soil Sci. Plant Nutr. 8 (3), 22-29 (1962).
  5. Cradwick, P. D. G., Farmer, V. C., Russell, J. D., Wada, K., Yoshinaga, N. Imogolite, a Hydrated Aluminium Silicate of Tubular Structure. Nature Phys. Sci. 240, 187-189 (1972).
  6. Bonelli, B., et al. IR spectroscopic and catalytic characterization of the acidity of imogolite-based systems. J. Catal. 264 (2), 15-30 (2009).
  7. Yang, H., Wang, C., Su, Z. Growth Mechanism of Synthetic Imogolite Nanotubes. Chem. Mater. 20 (13), 4484-4488 (2008).
  8. Wada, S. Imogolite synthesis at 25. Clay Clay Miner. 35 (5), 379-384 (1987).
  9. Yucelen, G. I., et al. Shaping Single-Walled Metal Oxide Nanotubes from Precursors of Controlled Curvature. Nano Lett. 12, 827-832 (2012).
  10. Ackerman, W. C., et al. Gas/vapor adsorption in imogolite: a microporous tubular aluminosilicate. Langmuir. 9 (4), 1051-1057 (1993).
  11. Wilson, M. A., Lee, G. S. H., Taylor, R. C. Benzene displacement on imogolite. Clay Clay Miner. 50 (3), 348-351 (2002).
  12. Bonelli, B., Armandi, M., Garrone, E. Surface properties of alumino-silicate single-walled nanotubes of the imogolite type. Phys. Chem. Chem. Phys. 15 (32), 13381-13390 (2013).
  13. Amara, M. S., et al. Hexagonalization of Aluminogermanate Imogolite Nanotubes Organized into Closed-Packed Bundles. J. Phys. Chem. C. 118, 9299-9306 (2014).
  14. MacKenzie, K. J., Bowden, M. E., Brown, J. W. M., Meinhold, R. H. Structural and thermal transformation of imogolite studied by 29Si and 27Al high-resolution solid-stated magnetic nuclear resonance. Clay Clay Miner. 37 (4), 317-324 (1989).
  15. Kang, D. Y., et al. Dehydration, dehydroxylation, and rehydroxylation of single-walled aluminosilicate nanotubes. ACS Nano. 4, 4897-4907 (2010).
  16. Zanzottera, C., et al. Thermal collapse of single-walled aluminosilicate nanotubes: transformation mechanisms and morphology of the resulting lamellar phases. J. Phys. Chem. C. 116 (13), 23577-23584 (2012).
  17. Wada, S. I., Wada, K. Effects of Substitution of Germanium for Silicon in Imogolite. Clay Clay Miner. 30 (2), 123-128 (1982).
  18. Thill, A., et al. Physico-Chemical Control over the Single-or Double-Wall Structure of Aluminogermanate Imogolite-like Nanotubes. J. Am. Chem. Soc. 134 (8), 3780-3786 (2012).
  19. Mukherjee, S., Bartlow, V. M., Nair, S. Phenomenology of the growth of single-walled aluminosilicate and aluminogermanate nanotubes of precise dimensions. Chem. Mater. 17 (20), 4900-4909 (2005).
  20. Kang, D. -. Y., Zang, J., Jones, C. W., Nair, S. Single-Walled Aluminosilicate Nanotubes with Organic-Modified Interiors. J. Phys. Chem. C. 115 (15), 7676-7685 (2011).
  21. Bottero, I.,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hybrid organic/inorganic nanotubes of the imogolite type and their behaviour towards methane adsorption. Phys. Chem. Chem. Phys. 13 (2), 744-750 (2011).
  22. Kang, D. -. Y., et al. Direct Synthesis of Single-Walled Aminoaluminosilicate Nanotubes with Enhanced Molecular Adsorption Selectivity. Nature Commun. 5, 3342 (2014).
  23. Ma, W., Yah, M. O., Otsuka, H., Takahara, A. Application of imogolite clay nanotubes in organic-inorganic nanohybrid materials. J. Mater. Chem. 22 (24), 11887-11892 (2012).
  24. Park, S., et al. Two-dimensional alignment of imogolite on a solid surface. Chem. Commun. , 2917-2919 (2007).
  25. Yamamoto, K., Otsuka, H., Wada, S., Takahara, A. Surface modification of aluminosilicate nanofiber "imogolite&#34. Chem. Lett. 30, 1162-1173 (2001).
  26. Zanzottera, C., et 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mogolite nanotubes functionalized on both external and internal surfaces. J. Phys. Chem. C. 116 (13), 7499-7506 (2012).
  27. Gustafsson, J. P. The surface chemistry of imogolite. Clay Clay Miner. 49 (1), 73-80 (2001).
  28. Denaix, L., Lamy, I., Bottero, J. Y. Structure and affinity towards Cd2+, Cu2+, Pb2+ of synthetic colloidal amorphous aluminosilicates and their precursors. Coll. Surf. A. 158 (3), 315-325 (1999).
  29. Clark, C. J., McBride, M. B. Cation and anion retention by natural and synthetic allophane and imogolite. Clay Clay Miner. 32 (4), 291-299 (1984).
  30. Parfitt, R. L., Thomas, A. D., Atkinson, R. J., Smart, R. S. t. C. Adsorption of phosphate on imogolite. Clay Clay Miner. 22 (5-6), 455-456 (1974).
  31. Arai, Y., McBeath, M., Bargar, J. R., Joye, J., Davis, J. A. Uranyl adsorption and surface speciation at the imogolite-water interface: Self-consistent spectroscopic and surface complexation models. Geochim. Cosmochim. Acta. 70 (10), 2492-2509 (2006).
  32. Harsh, J. B., Traina, S. J., Boyle, J., Yang, Y. Adsorption of cations on imogolite and their effect on surface charge characteristics. Clay Clay Miner. 40 (6), 700-706 (1992).
  33. Ookawa, M., Inoue, Y., Watanabe, M., Suzuki, M., Yamaguchi, T.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Fe containing imogolite. Clay Sci. 12 (2), 280-284 (2006).
  34. Alvarez-Ramìrez, F. First Principles Studies of Fe-Containing Aluminosilicate and Aluminogermanate Nanotubes. J. Chem. Theory Comput. 5 (12), 3224-3231 (2009).
  35. Guimarães, L., Frenzel, J., Heine, T., Duarte, H. A., Seifert, G. Imogolite nanotubes: stability, electronic and mechanical properties. ACS Nano. 1 (4), 362-368 (2007).
  36. Shafia, E., et al. Al/Fe isomorphic substitution versus Fe2O3 clusters formation in Fe-doped aluminosilicate nanotubes (imogolite). J. Nanopar. Res. 17 (8), 336 (2015).
  37. Avellan, A., et al. Structural incorporation of iron into Ge-imogolite nanotubes: a promising step for innovative nanomaterials. RSC Advances. 4 (91), 49827-49830 (2014).
  38. Shafia, E., et al. Reactivity of bare and Fe-doped alumino-silicate nanotubes (imogolite) with H2O2 and the azo-dye Acid Orange 7. Catal. Tod. , (2015).
  39. Shafia, E., et al. Isomorphic substitution of aluminium by iron into single-walled alumino-silicate nanotubes: A physico-chemical insight into the structural and adsorption properties of Fe-doped imogolite. Micropor. Mesopor. Mat. 224, 229-238 (2016).
  40. Arancibia-Miranda, N., Acuña-Rougiera, C., Escudey, M., Tasca, F. . Nanomaterials. 6 (2), 28 (2016).
  41. Freyria, F. S., et al. Reactions of Acid Orange 7 with Iron Nanoparticles in Aqueous Solutions. J. Phys. Chem. C. 115 (49), 24143-24152 (2011).
  42. Zhao, X., et al. Selective anion exchange with nanogated isoreticular positive metal-organic frameworks. Nat. Commun. 4, 2344 (2013).
  43. Bursill, L. A., Peng, J. L., Bourgeois, L. N. Imogolite: an aluminosilicate nanotube material. Philos. Mag. A. 80 (1), 105-117 (2000).
  44. Rotoli, B. M., et al. Imogolite: An Aluminosilicate Nanotube Endowed with Low Cytotoxicity and Genotoxicity. Chem. Res. Toxicol. 27 (7), 1142-1154 (2014).
  45. Shu, H. -. Y., Chang, M. -. C., Hu, H. -. H., Chen, W. -. H. Reduction of an azo dye acid black 24 solution using synthesized nanoscale zerovalent iron particles. J. Colloid Interface Sci. 314 (1), 89-97 (2007).
  46. Farmer, V. C. Synthetic imogolite, a tubular hydroxylaluminum silicate. , (1978).
  47. Farmer, V. C., Fraser, A. R., Tait, J. M. Synthesis of imogolite: a tubular aluminium silicate polymer. J. Chem. Soc. Chem. Commun. 13, 462-463 (1977).
  48. Violante, A., Huang, P. M. Formation mechanism of aluminum hydroxide polymorphs. Clay Clay Miner. 41 (5), 590-597 (1993).
  49. Violante, P., Violante, A., Tait, J. M. Morphology of nordstrandite. Clay Clay Miner. 30 (6), 431-437 (1982).

Play Video

Citar este artículo
Shafia, E., Esposito, S., Bahadori, E., Armandi, M., Manzoli, M., Bonelli, B.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Fe-doped Aluminosilicate Nanotubes with Enhanced Electron Conductive Properties. J. Vis. Exp. (117), e54758, doi:10.3791/54758 (2016).

View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