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투과 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골격근섬유의 세포하 글리코겐 분포의 정량화

Published: February 07, 2022
doi:

Summary

수정 된 고정 후 절차는 조직에서 글리코겐 입자의 대비를 증가시킵니다. 이 논문은 조직을 처리하고, 이미징을 수행하고, 입체 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골격근에서 섬유 유형 별 세포 내 글리코겐 분포에 대한 편향되지 않은 정량적 데이터를 얻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별 프로토콜을 제공합니다.

Abstract

투과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면 개별 근육 섬유를 포함하는 고정 샘플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부피 분율, 표면적 대 부피비, 형태학 및 상이한 아세포 구조의 물리적 접촉 부위와 같은 초구조적 측면의 정량화를 가능하게 한다. 1970년대에는 세포에서 글리코겐의 강화된 염색을 위한 프로토콜이 개발되었고, 투과 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글리코겐 및 글리코겐 입자 크기의 세포내 국소화에 관한 일련의 연구를 위한 길을 열었다. 대부분의 분석은 글리코겐이 근육 섬유 내에 균질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처럼 해석하고 단 하나의 값(예를 들어, 평균 농도)만을 제공하는 반면, 투과 전자 현미경 검사는 글리코겐이 별개의 세포 하부 구획에 위치한 분리된 글리코겐 입자로서 저장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여기서, 조직 수집으로부터 개별 골격근 섬유의 별개의 세포내 구획에서 글리코겐의 부피 분획 및 입자 직경의 정량적 결정을 위한 단계별 프로토콜이 기재되어 있다. 1) 조직 표본 수집 및 얼룩 방법, 2) 이미지 분석 및 데이터 처리 수행, 3) 추정치의 정밀도 평가, 4) 근섬유 유형 차별, 5) 방법론적 함정 및 한계에 대한 고려 사항이 포함됩니다.

Introduction

글리코겐 입자는 포도당과 다양한 관련 단백질1의 분지형 중합체로 구성되며 높은 대사 요구시 중요한 연료를 구성합니다2. 널리 인식되지는 않지만, 글리코겐 입자는 또한 국소 연료를 구성하며, 일부 세포 하부 공정은 혈장 글루코스 및 지방산과 같은 다른 더 오래 지속되는 연료의 가용성에도 불구하고 글리코겐을 우선적으로 이용한다3,4.

글리코겐을 세포내 특이적 국부적 연료로서 저장하는 것의 중요성은 여러 리뷰5,6에서 논의되었으며, 주로 투과 전자 현미경(TEM)7,8에 의한 글리코겐의 세포하 분포에 대한 초기 문서 중 일부에 기초한다. 첫 번째 연구는 조직 화학 염색 기술에서 음성 및 양성 염색에 이르기까지 글리코겐의 대비를 높이기 위해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했습니다.9,10. 중요한 방법론 적 개발은 칼륨 페로시아나이드 환원 osmium11,12,13,14를 사용한 정제 된 사후 고정 프로토콜이었으며, 이는 글리코겐 입자의 대비를 크게 향상 시켰습니다. 이 세련된 프로토콜은 운동으로 인한 글리코겐 고갈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15에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그레이엄과 동료들에 의해 다시 도입되었습니다16,17.

2차원 이미지에 기초하여, 글리코겐의 세포하 분포는 가장 흔히 세 개의 풀에 위치한 글리코겐 입자로서 기술된다: 아사르콜렘말(표면막 바로 아래), 인터미오피브릴라(myofibrils 사이), 또는 근오피브릴라(myofibrils 내). 그러나, 글리코겐 입자는 또한 예를 들어, 사르코플라스마 망상7 또는 nuclei18과 관련된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세포내 분포에 더하여, TEM-추정된 글리코겐 함량의 이점은 또한 단일 섬유 수준에서 정량화가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섬유 대 섬유 변동성을 조사하고 미토콘드리아와 지질 방울과 같은 섬유 유형 및 세포 구성 요소와의 상관 관계 분석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골격근 섬유에서 TEM-추정된 섬유 유형-특이적 용적 함량에 대한 프로토콜은 골격근 섬유에서 글리코겐의 세 가지 공통 서브 세포 풀(subsarcolemmal, intermyofibrillar, and intramyofibrillar)에 대해 기술된다. 상기 방법은 인간19, rats20, 및 mice21로부터의 골격근에 적용되었다; 새와 물고기뿐만 아니라22; 및 래트로부터의 심근세포23.

Protocol

인간 생검된 골격근 샘플을 사용하는 본 프로토콜은 남부 덴마크를 위한 건강 연구 윤리에 관한 지역 위원회(The Regional Committees on Health Research Ethics for Southern Denmark, S-20170198)에 의해 승인되었다. 근육 생검은 국소 마취 후 흡입과 함께 베르그스트롬 바늘을 사용하여 혈관측방 근으로부터 피부 절개를 통해 얻어졌으며 피하로 주어졌다(절개당 리도카인 1-3 mL 2%). 분리된 전체 래트 근육이 사용…

Representative Results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글리코겐 입자가 검고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그림 1 및 그림 2). 글리코겐의 정상 값은 도 3에 묘사되어 있다. 이 데이터는 다른 이전 연구에서 수집 된 41 명의 건강한 젊은 남성의 총 362 섬유를 기반으로합니다.19,24,29,30,31.<sup cl…

Discussion

이 방법의 중요한 단계는 고정 후 동안 칼륨 페로시아나이드에 의해 환원 된 오스뮴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글리코겐 검출을 위한 이 변형된 고정제의 선택성은 화학에 의해 완전히 설명될 수 없지만, 글리코겐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조직 또는 세포외 공간에서11에서 그러한 입자의 검출이 없음을 입증하는 실험 발견도 포함한다.

중요한 파라미터는 추정치의…

Disclosures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이 작업은 스웨덴 올림픽 위원회의 지원을 받았다.

Materials

1,2-Propylene oxide Merck 75-56-9
Embedding 812 resin medium kit Taab T031
Glutaraldehyde solution 25% Merck 1.04239.0250
ITEM Olympus Imaging software
Leica EM AC20 Leica Automatic contrasting system
OSIS Veleta digital camera Olympus
Osmium tetroxide 4% solution Polysciences 0972A
Philips CM 100 Transmission EM Philips
Potassium hexacyanoferrate (II) trihydrate Sigma-Aldrich 455989-245G
Sodium cacodylatbuffer 0,2 M ph 7.4 Ampliqon.com AMPQ40989.0500
Ultra-microtome Leica UC7 Leica
Ultrostain lead citrate 3%, stabilised solution Leica 16707235
Uranyl acetate dihydrate Polysciences 6159-44-0

References

  1. Prats, C., Graham, T. E., Shearer, J. The dynamic life of the glycogen granul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93 (19), 7089-7098 (2018).
  2. Gollnick, P. D., Piehl, K., Saltin, B. Selective glycogen depletion pattern in human muscle fibres after exercise of varying intensity and at varying pedalling rates. Journal of Physiology. 241 (1), 45-57 (1974).
  3. James, J. H., et al. Stimulation of both aerobic glycolysis and Na+-K+-ATPase activity in skeletal muscle by epinephrine or amylin.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Endocrinology Metabolism. 277 (1), 176-186 (1999).
  4. Jensen, R., Nielsen, J., Ørtenblad, N. Inhibition of glycogenolysis prolongs action potential repriming period and impairs muscle function in rat skeletal muscle. Journal of Physiology. 598 (4), 789-803 (2020).
  5. Green, H. J. How important is endogenous muscle glycogen to fatigue in prolonged exercise. Canadi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69 (2), 290-297 (1991).
  6. Fitts, R. H. Cellular mechanisms of muscle fatigue. Physiological Reviews. 74 (1), 49-94 (1994).
  7. Wanson, J. C., Drochmans, P. Role of the sarcoplasmic reticulum in glycogen metabolism. Journal of Cellular Biology. 54 (2), 206-224 (1972).
  8. Schmalbruch, H., Kamieniecka, Z. Fiber types in the human brachial biceps muscle. Experimental Neurology. 44 (2), 313-328 (1974).
  9. Drochmans, P. Morphology of glycogen.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the negative stains of particulate glycogen. Journal of Ultrastructure Research. 6, 141-163 (1962).
  10. Thiery, J. -. P. Demonstration of polysaccharides on thin sections by electron microscopy. Journal of Microscopy. 6, 987-1018 (1967).
  11. De Bruijn, W. C. Glycogen, its chemistry and morphologic appearance in the electron microscope. I. A modified OsO4 fixative which selectively contrasts glycogen. Journal of Ultrastructural Research. 42 (1), 29-50 (1973).
  12. Robinson, J. M., Karnovsky, M. L., Karnovsky, M. J. Glycogen accumulation in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and other intracellular alterations that occur during inflammation. The Journal of Cell Biology. 95 (3), 933-942 (1982).
  13. Rybicka, K. K. Glycosomes – the organelles of glycogen metabolism. Tissue and Cell. 28 (3), 253-265 (1996).
  14. Gadisseux, J. F., Evrard, P. Glial-neuronal relationship in the developing central nervous system. A histochemical-electron microscope study of radial glial cell particulate glycogen in normal and reeler mice and the human fetus. Developmental Neuroscience. 7 (1), 12-32 (1985).
  15. Fridén, J., Seger, J., Ekblom, B. Implementation of periodic acid-thiosemicarbazide-silver proteinate staining for ultrastructural assessment of muscle glycogen utilization during exercise. Cell Tissue Research. 242 (1), 229-232 (1985).
  16. Marchand, I., et al. Quantification of subcellular glycogen in resting human muscle: granule size, number, and locatio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93 (5), 1598-1607 (2002).
  17. Marchand, I., et al. Quantitative assessment of human muscle glycogen granules size and number in subcellular locations during recovery from prolonged exercise. Journal of Physiology. 580, 617-628 (2007).
  18. Sun, R. C., et al. Nuclear Glycogenolysis Modulates Histone Acetylation in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s. Cell Metabolism. 30 (5), 903-916 (2019).
  19. Jensen, R., et al. Heterogeneity in subcellular muscle glycogen utilisation during exercise impacts endurance capacity in men. Journal of Physiology. 598 (19), 4271-4292 (2020).
  20. Nielsen, J., Schrøder, H. D., Rix, C. G., Ørtenblad, N. Distinct effects of subcellular glycogen localization on tetanic relaxation time and endurance in mechanically skinned rat skeletal muscle fibres. Journal of Physiology. 587 (14), 3679-3690 (2009).
  21. Nielsen, J., Cheng, A. J., Ørtenblad, N., Westerblad, H. Subcellular distribution of glycogen and decreased tetanic Ca2+ in fatigued single intact mouse muscle fibres. Journal of Physiology. 592 (9), 2003-2012 (2014).
  22. Mead, A. F., et al. Fundamental constraints in synchronous muscle limit superfast motor control in vertebrates. eLife. 6, 29425 (2017).
  23. Nielsen, J., Johnsen, J., Pryds, K., Ørtenblad, N., Bøtker, H. E. Myocardial subcellular glycogen distribution and sarcoplasmic reticulum Ca2+ handling: effects of ischaemia, reperfusion and ischaemic preconditioning. Journal of Muscle Research and Cellular Motility. 42 (1), 17-31 (2021).
  24. Nielsen, J., Holmberg, H. C., Schrøder, H. D., Saltin, B., Ørtenblad, N. Human skeletal muscle glycogen utilization in exhaustive exercise: role of subcellular localization and fibre type. Journal of Physiology. 589 (11), 2871-2885 (2011).
  25. Weibel, E. R. . Stereological Methods. Vol. 2: Theoretical Foundations. , (1980).
  26. Gundersen, H. J., et al. Some new, simple and efficient stereological methods and their use in pathological research and diagnosis. APMIS. 96 (5), 379-394 (1988).
  27. Saltin, B., Gollnick, P. D. Skeletal muscle adaptability: significance for metabolism and performance. Handbook of Physiology. Skeletal Muscle. 10, 555-632 (1983).
  28. Howard, C. V., Reed, M. G. . Unbiased Stereology.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in Microscopy. , (2005).
  29. Nielsen, J., et al. Subcellular localization-dependent decrements in skeletal muscle glycogen and mitochondria content following short-term disuse in young and old men.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Endocrinology Metabolism. 299 (6), 1053-1060 (2010).
  30. Hokken, R., et al. Subcellular localization- and fibre type-dependent utilization of muscle glycogen during heavy resistance exercise in elite power and Olympic weightlifters. Acta Physiologica (Oxford). 231 (2), 13561 (2021).
  31. Nielsen, J., Farup, J., Rahbek, S. K., de Paoli, F. V., Vissing, K. Enhanced glycogen storage of a subcellular hot spot in human skeletal muscle during early recovery from eccentric contractions. PLoS One. 10 (5), 0127808 (2015).
  32. Sjöström, M., et al. Morphometric analyses of human muscle fiber types. Muscle Nerve. 5 (7), 538-553 (1982).
  33. Gejl, K. D., et al. Local depletion of glycogen with supramaximal exercise in human skeletal muscle fibres. Journal of Physiology. 595 (9), 2809-2821 (2017).
  34. Stanley, W. C., Recchia, F. A., Lopaschuk, G. D. Myocardial substrate metabolism in the normal and failing heart. Physiological Reviews. 85 (3), 1093-1129 (2005).

Play Video

Cite This Article
Jensen, R., Ørtenblad, N., di Benedetto, C., Qvortrup, K., Nielsen, J. Quantification of Subcellular Glycogen Distribution in Skeletal Muscle Fibers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J. Vis. Exp. (180), e63347, doi:10.3791/63347 (2022).

View Video